e-스포츠
G-어시스트, 게임 설정 최적화와 공략법도 제공
버추얼 프렌드, 의사소통하며 같이 게임 플레이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게임 설정을 알아서 해주는 AI(인공지능) 게임비서가 현실로 성큼 다가왔다. 영화 <아이언맨>의 자비스처럼 의사소통도 가능하다.
23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AI를 접목한 게임이 많아지고 있다. 개발뿐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 가능하다. 게임사가 AI 활용에 힘쓰는 이유는 게임 제작 기간과 비용 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엔비디아가 최근 AI 게임 비서 ‘G-어시스트’를 공개했다. 이 프로그램은 게임 이용자에게 게임 설정 최적화 기능과 게임 정보 등을 제공한다. 전력 사용량 통계를 추적하라는 명령에는 그래프로 표시해 제공한다. 게임 초반 무기 제작에 필요한 재료를 어디서 찾는지 등 공략법도 알려준다.
또 엔비디아는 스타트업 인월드AI와 함께 만든 추리 게임 <커버트 프로토콜> 데모를 공개했다. 자연스럽게 말과 행동을 하는 NPC(Non-Player Character)가 음성으로 이용자와 직접 대화하며 단서를 찾는다.
인공지능 NPC는 엔비디아 게임용 아바타 클라우드 엔진(ACE)으로 만들어졌다. 게임용 ACE에는 △자동 음성 인식 △텍스트를 음성으로 전환 △음성에 따라 자연스러운 표정 생성 △대화 가이드라인 설정 등의 기능이 포함돼 있다.
크래프톤에서도 이용자와 같이 게임을 하는 AI 가상 친구 ‘버추얼 프렌드’를 제작하고 있다. 2년 내에 선보인다는 목표다. 마치 사람처럼 교류하면서 같이 게임을 진행한다.
크래프톤은 현재 딥러닝 본부와 AI 전략팀을 따로 둘 정도로 AI 개발과 적용에 힘을 쏟고 있다. AI를 게임 개발뿐 아니라 적재적소에 투입해 효율성을 도모한다. 실제로 글자를 음성으로 전환하는 TTS 기술은 현재 게임에 적용되고 있다.
크래프톤 산하 AI 게임 개발사 렐루게임즈는 최근 AI 기반 게임 2개를 선보였다. <마법소녀 카와이 러블리 즈큥도큥 바큥부큥 루루핑>은 음성 역할 시물레이션 게임이다. AI를 음성 인식과 그래픽에 활용했다. 또한 <언커버 더 스모킹 건>은 추리 게임으로 이용자가 채팅으로 질문하면 NPC가 오픈AI를 활용해 답을 주는 방식이다.
크래프톤 관계자는 “ AI를 자체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하는 등 AI 영역에 진심이다”며 “렐주게임즈도 AI 기반 게임 차기작을 제작하는 초기 프로젝트 단계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성규 기자 psk@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