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마이데일리 = 잠실 조인식 기자] KIA 타이거즈 선동열 감독은 26일 광주 한화전에서 직접 자리에서 일어나 심판 판정에 항의했다.
때는 6회말이었다. 한화 선발 류현진을 맞아 타석에 들어선 선두타자 이용규는 볼카운트 2-2에서 5구째 들어오는 공에 방망이를 내는 듯 하다 멈췄다. 스윙이 아니라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강광회 구심은 이용규를 스윙 아웃으로 판정했다. 그러자 당연히 스윙이 아니라고 판단한 이용규 본인은 물론, 선 감독까지 덕아웃을 박차고 강광회 구심에게 항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정은 번복되지 않았다. 0-4로 뒤지고 있던 KIA가 류현진을 상대로 4점의 스코어를 역전하기 쉽지 않은 흐름이었지만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는 오심이었다.
심판도 인간이다 보니 100% 정확한 판정을 할 수는 없다. 선 감독은 선수의 이름값이 판정에 미치는 영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분명 있다"고 단언했다. 이어 "어제(26일) 홍재호 타석에서도 몸쪽 공 2개가 스트라이크로 들어와 삼진을 당했는데, 이름이 있는 타자였다면 (심판의)손이 안 올라갔을 거다. 그런 영향은 분명 있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야구의 모든 것은 불완전한 인간의 행위로 구성되기 때문에 플레이나 판정 모두 100% 정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완벽의 가까운 경기를 위해서는 작은 것도 무심코 지나치지 않는 세심함이 필요하다. 그 상황에서 3루심의 의견을 들어보거나 4심 합의를 통해 결론을 도출해보는 것은 어땠을까.
[KIA 선동열 감독. 사진 = 마이데일리 DB]
조인식 기자 조인식 기자 nick@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