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김경민기자]대국민오디션 ‘슈퍼스타K4’의 네 번째 슈퍼스타K는 엄친아 로이킴으로 결정됐다.
23일 밤 11시부터 서울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된 케이블채널 엠넷 '슈퍼스타K4'(이하 '슈스케4') 결승전에서 로이킴이 밴드 딕펑스를 물리치고 최종우승자로 결정됐다.
어느덧 4년째를 맞은 ‘슈스케’는 기존 가요계 판도를 확실하게 뒤집은 한판이었다. 바로 탈 아이돌, 탈 대형기획사의 선언인 것이다.
‘슈스케’가 시작할 당시부터 한국 가요계는 아이돌 열풍이 불고 있다. 시즌 1과 2또한 이런 경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1의 우승자인 서인국은 노래실력과 함께 외모를 갖췄고, 대중들 또한 이런 서인국을 첫 번째 슈퍼스타K로 뽑았다. 기존에 방송되던 여느 오디션 프로그램과 규모만 달랐을 뿐이지 우승자가 결정되는 방식은 비슷했다.
이어 ‘슈스케’를 자리잡게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두 번째 시즌부터는 대세를 거스르기 시작했다. 솔로가수 득세가 돋보이던 것. 우승자 허각을 비롯해 존박, 장재인 솔로가수가 프로그램의 대세로 떠올랐다.
하지만 시즌 2까지의 경향은 ‘슈스케’가 배출해 기획사를 잡는 공식이었다. ‘슈스케’는 단지 거쳐가는 과정에 불과 했고, 우승자들 또한 중대형 기획사와 계약을 맺고 트레이닝 후 데뷔하는 공식이 성립됐다.
이변은 세 번째 시즌부터 시작됐다. 우승자 울랄라세션과 버스커버스커 같은 경우는 대형기획사의 구미를 당기지 못했다. 울랄라세션은 스스로 회사를 차렸고, 버스커버스커는 불투명하다.
시즌 4의 우승자 로이킴의 경우는 빼어난 외모와 노래 실력을 갖췄지만 대형 기획사들의 구미를 당기지는 못하고 있다. 바로 그 배경이 독으로 돌아왔다. 그의 아버지는 S탁주 업체의 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본인 또한 유학을 예정했다는 발언을 하는 등, 기획사들이 원하는 소속가수의 모습은 아니다. 언제든 통제를 따르지 않는 돌발 행동이 가능하다는게 업계의 분석이다.
딕펑스 또한 버스커버스커 같은 독자행보를 걸을 가능성이 다분하다. 정준영의 경우 스타성이 입증됐지만 돌발 행동과 발언 등으로 매니지먼트 관계자들로부터는 평가가 좋지 않다.
지상파와 케이블에서는 무수한 오디션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SBS ‘K팝스타’의 경우 아예 3대 기획사를 도입한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K팝스타’ 방식이 지금까지의 오디션 프로그램이었다면 ‘슈스케’의 경우는 이런 공식을 완전히 깨버렸다.
그 이유는 CJ E&M이 배경에 있다는 것이다. CJ E&M의 경우 방송사업뿐만 아니라 음반 제작/유통을 하고 있다. 스스로 생산해서 음반을 유통하고 방송을 통한 PR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런 CJ E&M이 제작하는 ‘슈스케’는 배출한 ‘슈퍼스타K’가 어떤 기획사로 갈지, 혹은 소비해 줄 음반사나 방송사가 있을지에 대한 눈치를 보지 않고 스스로 생산 및 소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슈스케3’ 준우승자 버스커버스커는 CJ E&M을 통해 음반을 발매해서 CJ공연사업부를 통해서 전국투어를 개최했다. CJ E&M에 의해서 배출된 스타가 음반 출시부터 홍보 및 유통, 그리고 공연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한 것이다.
‘슈스케’는 시즌 3부터 뚜렷한 색깔을 갖게 됐다. 이 것은 가요계의 트랜드에 대한 눈치를 보지 않고 그야말로 국민이 뽑은 스타를 아무런 제약 없이 배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슈스케4 우승자 로이킴. 사진 = 송일섭 기자 andlyu@mydaily.co.kr]
김경민 기자 fender@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