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NBA
[마이데일리 = 울산 김진성 기자] 결국 판타스틱4로 돌아왔다.
울산 모비스의 챔피언결정전 우승. 무슨 의미가 있을까. 판타스틱4의 화려한 귀환 정도로 규정할 수 있다. 모비스는 애당초 2012-2013시즌의 강력한 우승후보였다. 심지어 1강으로 평가하는 전문가도 있었다. 멤버가 확 바뀌었다. 귀화혼혈선수 문태영을 잡았다. 이어 특급신인 김시래도 영입했다. 이미 직전 시즌 막판 함지훈의 복귀로 올 시즌 돌풍을 예고한 상황. 양동근-김시래-함지훈-문태영으로 이어지는 판타스틱4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판타스틱4? 부러진 스틱
실제로 이 정도로 탄탄한 국내 선수 진용을 갖춘 팀은 모비스 외엔 없었다. 유재학 감독도 우승에 대한 욕심을 냈다. 그러나 시즌 초반 그들은 손발이 맞지 않았다. 새롭게 합류한 문태영과 김시래가 유 감독의 농구를 이해하고 녹아드는 데 시간이 필요했다. 둘다 LG, 명지대 시절 혼자 하는 농구에 익숙했다. 문태영은 해결사였다. 김시래는 경기운영, 득점 등 모든 걸 도맡아 하는 에이스였다.
유 감독의 농구는 누구 하나 튀는 걸 원하지 않는다. 코트에 들어선 5명이 유기적인 호흡을 바탕으로 조직적인 농구를 해야 한다. 유 감독은 문태영은 자꾸 골밑으로 들어가려는 습관이 있었다. 그러나 모비스엔 리카르도 라틀리프와 함지훈이 있었다. 문태영까지 안으로 들어가면 동선이 겹친다. 실제 1~2라운드 모비스의 볼 흐름은 매우 빡빡했다.
김시래는 플레이에 군더더기가 많았다. 자신이 직접 볼을 끌고 다니면서 찬스를 엿보는 습관이 있었다. 유 감독은 간결한 플레이를 지시했다. 그러자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슬럼프에 빠졌다. 유 감독은 김시래를 더욱 혹독하게 몰아쳤다. 김시래는 시즌 중반 존재감이 거의 없었다. 백업으로 밀리면서 출전시간도 확 줄었다. 이러면서 모비스의 판타스틱4는 부러진 스틱이라는 말이 들렸다. 성적도 쑥쑥 오르지 못했다. SK와 전자랜드를 압도하지 못한 채 2~3위로 처졌다.
▲ 벤슨 영입, 그리고 13연승
모비스는 1월 28일 창원 LG에 커티스 위더스과 향후 세 시즌 중 신인지명권 1장을 내주고 로드 벤슨을 영입했다. 엄청난 변화였다. 벤슨의 영입으로 모비스는 리바운드 2~3위 선수를 한꺼번에 보유하게 됐다. 다분히 SK와 전자랜드를 의식한 조치. 벤슨은 빠르게 모비스에 녹아들었다. 이미 동부에서 촘촘한 조직농구에 익숙해져 있던 터라 어려움이 없었다.
모비스는 시즌 초반 라틀리프가 기복있는 플레이를 보이자 상대팀 외국인선수가 함지훈을 막았다. 상대팀들이 라틀리프를 국내선수로 막아도 충분하다고 판단했기 때문. 함지훈은 상당히 고전했다. 수비자 3초룰 폐지로 겹수비가 가능해진 상황에서 가뜩이나 문태영과 동선 정리가 되지 않고 있던 상황. 그러나 벤슨 영입으로 상당수 해소됐다. 벤슨이 라틀리프와 출전시간을 양분하면서 함지훈은 국내선수와 매치업 되자 자신감을 찾았다. 밖으로 빼주는 플레이에 익숙해졌다.
그런데 또 다른 난국이 발생했다. 함지훈이 2월 말 다리 부상으로 3월 초까지 결장한 것. 이때 문태영의 움직임이 상당히 좋아졌다. 오히려 모비스 전체적인 공격 흐름이 더욱 좋아졌다. 김시래도 시즌 막판 몰라보게 달라졌다. 간결한 플레이에 눈을 떴고, 넓은 시야로 양동근의 부족한 패스 능력을 채워졌다. 결국 시즌 막판 함지훈이 돌아온 뒤에도 큰 문제가 없었다. 판타스틱4 자체가 시즌 막판이 돼서야 제대로 굴러가기 시작한 것이다. 모비스는 그렇게 정규시즌 막판 13연승을 달성하며 올 시즌 최다연승을 기록했다. 슬로스타터로 시즌을 열어제쳤으나 정규시즌 준우승.
▲ 포스트시즌서 빛난 판타스틱4
모비스 판타스틱4는 포스트시즌서 제대로 빛을 발했다. 벤슨과 함지훈, 혹은 라틀리프와 함지훈 조합의 높이가 4강 플레이오프에서 인천 전자랜드를 압도했다. 이는 곧 양동근과 김시래가 주도하는 속공으로 이어졌다. 문태영은 양쪽 코너 혹은 45도 지점에서 나온 볼을 착실하게 득점으로 연결했다. 결국 모비스는 4강 플레이오프서 평균 20점차로 전자랜드를 3연속 완파했다. 애당초 접전이 될 것이란 예상이 무색했다.
판타스틱4의 위력은 정규시즌 챔피언 서울 SK와의 챔피언결정전서 절정에 올랐다. SK는 1가드 4포워드 시스템을 자랑하는 팀. 높이가 좋다. 유 감독은 수비에서 승부를 걸었다. 헤인즈와 김선형의 2대2 플레이를 확실하게 막자 SK 공격력이 뚝 떨어졌다. 또 SK에서 미스매치로 이득을 볼 수 있는 박상오가 부진한데다 SK가 3차전 이후 포워드 4명을 동시에 기용하는 전술을 부분적으로 포기하면서 함지훈의 활용도가 다소 줄어들었다. 박구영, 박종천 등의 외곽포가 받쳐줄 경우 높이와 조화를 잘 이룰 수 있었기 때문.
결국 모비스는 포스트시즌을 전승으로 마쳤다. 판타스틱4는 각자의 위치와 역할을 100% 수행해냈다. 유재학 감독의 혜안은 결국 포스트시즌 우승으로 귀결됐다. 시즌 초반 삐걱거리던 그들은 결국 이름값을 해냈다. “멤버가 우승할 멤버라서 우승을 목표로 내걸었다”라는 유재학 감독의 말도 현실화됐다. 부러졌다 다시 단단하게 붙은 판타스틱4, 그들은 올 시즌 프로농구의 주인공이 됐다.
[모비스 선수들(위), 양동근(아래) 사진 = 울산 한혁승 기자 hanfoto@mydaily.co.kr]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