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집의 인상을 크게 좌우하는 현관 꾸미기
일반적으로 현관이란 단어는 신발, 혹은 신발장처럼 어딘가 어둡고 칙칙한 냄새와 흙먼지로 지저분하다는 이미지가 강하다.
내집이나 타인의 집 관계없이 첫발자국을 내딛는 현관, 굳이 사람에 비유한다면 얼굴에 해당할 것이다. 사람의 첫인상이 3초 안에 얼굴에서 결정된다면, 그 집의 첫인상은 10초 안에 둘러보는 현관이 70%를 좌우한다. 현관문을 연 순간 눈에 들어오는 공간 전부가 그 집의 얼굴인 동시에 첫인상이다.
반대로 외출할 때 마지막 순간을 마주하는 곳이기도 하다. 외출시 떠나는 현관이 상큼하게 정리되어 있어야 집으로 다시 돌아올 때 아늑한 기분을 느낄 수가 있다.
때문에 난 현관이 깔끔해야 남편이 출근할 때나 외출할 때 안정감을 주고, 집에 돌아와서도 편안한 느낌이 들 수 있겠끔 가능한 밝은 톤의 분위기에, 신발장도 게절별로 정리정돈을 했다.
일본 집은 한국 집과는 달리 현관에서는 집안의 거실이나 방이 보이지 않고, 대부분 복도로 연결되어 복도를 통해 거실과 방으로 들어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복도 공간을 그냥 두기가 좀 썰렁해 보여 액자를 걸고 오브제로 조촐하게 장식했다. 서양집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현관 입구에 콘솔을 놓고 싶었지만, 공간이 너무 좁아 일반 콘솔을 둘 수가 없어 작은 화장대를 코너에 바짝 붙여 콘솔 대용으로 썼다.
또한 신발을 신고 벗기에 편리하도록 작은 스톨도 놓고 싶었지만, 스톨을 두면 현관이 너무 좁아져 아쉽지만 포기했다. 대신 현관 문 위에 말린 생화로 만든 동그란 꽃볼을 달아, 다소 삭막하게 보이는 현관문에 부드럽고 예쁜 느낌이 들도록 포인트를 주었다.
그리고 화장대 콘솔에는 평소 계절별로 조화를 올려 놓았었는데, 지금은 아들이 조립한 레고 해적선을 장식품으로 놓았다.
같은 옷을 입어도 입는 사람마다 분위기나 느낌이 다르듯이, 인테리어나 수납도 똑같은 가구나 소품인데도 각자 취향에 따라, 혹은 물건을 놓는 위치나 꾸미는 방법에 따라 분위기가 확 달라진다.
하지만 어떻게든 정리된 느낌을 주고 싶다면 한가지 공통된 원칙이 있다. 기본적으로 무조건 질서있게 정리해야 한다는 것. 그러면 반은 이미 정갈한 인테리어 화원에 들어온 것이다.
<이 기사는 JP뉴스가 제공한 것입니다. 기사의 모든 권한과 책임은 JP뉴스에 있습니다>
곽소영 기자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