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이승길 기자] MBC '무한도전'을 향한 시청자의 높은 기대치를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의 어깨에 짊어준 제작진의 선택은 과연 옳았을까?
17일 오후 방송된 MBC '무한도전'은 시청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송제 '무도를 부탁해' 특집으로 꾸며졌다. '무도를 부탁해'는 시청자가 제출한 기획안 중 멤버들과 제작진의 심사를 통과한 몇 개의 아이디어가 직접 '무한도전'으로 제작되는 형식의 특집이었다.
이번 특집에는 방송에 꿈을 가진 전국의 학생들이 대거 지원했고, 1000개 가량의 아이디어가 제작진 앞에 도착했다. 이날 방송에서는 아이디어를 제출한 시청자들이 직접 자신의 아이템을 바탕으로 멤버들 앞에서 프레젠테이션을 하는 모습이 그려졌고, 그 결과 열두 살 이예준군과 안양예고 여학생 3인방의 아이디어가 최종 선정됐다.
선정 후 본격적으로 프로그램 제작에 돌입한 이예준군은 멤버들을 향해 "나는 재촬영은 안 한다. 재미가 없어도 된다. 멤버들이 최선만 다하면 내가 편집을 통해 재밌게 만들겠다"며 자신감을 드러냈고, 이에 멤버들은 환호했다. 실제 촬영 당일에도 이예준군은 무더위에 지친 멤버들을 위해 휴대용 선풍기를 챙기는 등 자상한 PD의 모습을 보였고, 첫 촬영이 화기애애하게 시작되는 것으로 이날 방송은 마무리됐다.
하지만 방송의 후폭풍까지 화기애애하진 못했다. 프로가 아닌 아마추어가 주축이 된 특집인 만큼 이날 방송분은 완성도와 재미라는 측면에서 아쉬움이 있었다. 또 수많은 아이디어 중 탈락한 기획안을 지지하는 시청자를 중심으로 선정 과정에 대한 논란이 제기돼 김태호 PD가 해명을 SNS에 남기는 해프닝까지 있었다.
이 밖에 안양예고 학생들이 멤버들을 향해 첫 인사를 하는 과정에서 일본어를 사용하는 모습이 전파를 타며, 광복절 주간에 불필요한 장면이 포함됐다는 지적도 있었다.
무엇보다 문제는 이런 비판과 비난이 대중의 반응에 익숙지 않은 학생들을 직접 향했다는 점이다. '무도를 부탁해'는 단순한 시청자 참여 특집을 넘어 그들이 프로그램의 주체가 되는 과정을 담았고, 당연히 8년 간 쌓여온 '무한도전'을 향한 높은 기대치는 이들의 몫으로 돌아갔다. 모든 환호와 비판이 아마추어인 어린 학생들의 몫이 되고 만 것이다.
'무한도전' 팀은 이번 특집을 통해 시청자의 꿈을 지원한다는 긍정적인 의도를 밝혔다. 하지만 이와는 별개로 어린 학생들을 향한 거센 후폭풍은 챙기지 못했다. 이것이 '무도를 부탁해' 특집에서 '무한도전' 팀의 섬세한 배려가 아쉬웠던 이유다.
['무도를 부탁해' 특집으로 꾸며진 MBC '무한도전'. 사진 = MBC 방송화면 캡처]
이승길 기자 winning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