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이은지 기자] 제 18회 부산국제영화제(이하 제 18회 BIFF)가 개막한 후 벌써 절반의 시간이 지났다.
지난 3일 부산 해운대구 우동 영화의 전당에서는 제 18회 BIFF 개막식이 진행됐다. 이에 앞서 같은 장소 중극장에서는 이번 영화제의 개막작인 '바라: 축복'의 기자 시사회과 간담회가 진행됐다.
'바라: 축복'은 부탄의 고승이자 영화감독인 키엔체 노르부 감독의 세 번째 장편영화로, 인도의 저명한 소설가 수닐 강고파디아이의 단편 소설 '피와 눈물'을 바탕으로 감독이 직접 시나리오를 쓴 작품이다.
당초 이 작품이 개막작으로 선정됐을 때는 우려의 시선이 존재했다. 생소한 국가인 부탄의 영화인 것과 부탄의 승려가 만들었다는 점 등 실험적인 개막작 선정임 점은 분명해 보였다.
이런 우려에도 불구하고 18회 BIFF 기자회견을 진행했을 때 이용관 집행위원장은 "일단 영화를 보면 이 작품을 개막작으로 선정한 이유를 자연스럽게 알 수 있을 것"이라며 "아름다운 작품이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런 개막작이 개막식 직전 베일을 벗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취재진들을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공개된 작품은 아직은 영화라는 매체가 많이 발달하지 못한 것에서 비롯된 거침은 존재했지만 상업, 인공적인 요소가 없는 순수 무공해 작품으로 눈길을 사로잡았다.
인도 남부지방의 전통 춤인 '바라타나티암'을 매개로 남녀의 아름다운 사랑과 자기희생, 역경의 삶을 헤쳐 나가는 여인의 강한 의지를 담았다는 것이 무색하지 않은 작품이었다. 아름다운 춤사위는 물론이고, 아슬아슬하면서도 애잔한 감정으로 펼쳐지는 남녀 주인공의 사랑은 '순수함' 그 자체였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었다면 바로 고승이자 감독인 키엔체 노르부가 동굴 기도를 시작한 이유로 개막식 기자회견에 함께하지 못한 것. 국내 영화제에서는 볼 수 없었던 파격적인 작품 선정인 만큼 노르부 감독에서 듣고 싶었던 취재진들은 감독의 간단한 영상 메시지로 아쉬운 마음을 달래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평이 쏟아졌다. 물론 쉽게 접하지 못하고 생소한 작품이라 호불호가 갈렸지만, 대체적인 평가는 좋은 편이었다.
이번 파격에 가까운 개막작 선정은 국내 최대 영화제인 BIFF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보이게 만들었다. 아시아 최대의 영화 축제인 만큼 국내 관객들 취향에 맞춘 작품이 아닌, 아시아의 새로운 영화들을 볼 수 있는 진정한 '아시아 영화제'로 거듭나길 기대해 본다.
[제 18회 BIFF 개막작 '바라: 축복' 스틸컷(위), 키엔테 노르부 감독. 사진 = 부산국제영화제 사무국 제공]
이은지 기자 ghdpssk@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