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오승환 없는 삼성. 도대체 어떤 모습일까.
오승환의 해외진출이 급물살을 탄다. 삼성은 오승환의 해외진출을 적극적으로 돕기로 했다. 예상된 일이다. 삼성은 이제 오승환 없는 살림을 꾸려야 한다. 고려해야 할 복합적인 변수가 많다. 내부적인 사정, 외부의 환경 등에 따라 내년 삼성의 행보는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삼성의 향후 전력이 여전히 우승권이라는 시각, 4강권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란 시각이 동시에 존재한다.
▲ 뉴 클로저, 안지만 혹은 심창민?
일단 삼성은 포스트 오승환 찾기에 나선다. 물리적으로 보면 큰 문제는 없다. 현재 삼성 철벽 불펜을 구성 중인 안지만과 심창민은 타 팀에 가면 당장 마무리 감이다. 일단 두 투수가 마무리 후보 1순위인 건 확실하다. 물론 당장 결정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외부적인 환경변화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외국인 마무리 투수를 구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류중일 감독은 한국시리즈 기간에 “아주 긴박한 상황에 창민이를 못 쓴다. 지만이는 어떤 상황이든 흔들리지 않는데 창민이는 아직 조금 기복이 있다. 밸런스가 흔들리면 ‘볼, 볼’할 수도 있다”라고 했다. 전체적인 투구 안정성에서 안지만의 손을 들어준 것이다. 또 하나. 삼성은 여전히 강력한 외국인 에이스가 필요하다. 이번 한국시리즈서 여실히 드러난 부분이다. 때문에 외국인 마무리 투수를 구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순 없다.
안지만이 마무리로 이동할 경우 셋업맨 빈 자리는 자연스럽게 권오준이 채워야 할 것으로 보인다. 권오준은 작년 가을 토미존 서저리를 받고 1년을 통째로 쉬었다. 여기에 재기에 성공한 신용운, 성장이 기대되는 김현우 등이 심창민과 힘을 모은다면 삼성 불펜은 의외로 큰 누수 없이 미래를 대비할 수 있다.
▲ 오승환의 공백 그 이상의 아우라
이게 전부는 아니다. 변수가 있다. 한 투수출신 해설위원은 시즌 중 “삼성에 오승환의 빈자리를 대신해줄 투수가 오승환만큼의 몫을 해줄 것인지는 물음표다”라고 했다. 극단적으로 젊은 투수들의 성장이 더디다면 향후 삼성 불펜은 의외의 고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올 시즌 삼성 투수진을 봐도 심창민 정도를 제외하면 젊은 선수들의 성장이 급격하게 이뤄졌다는 느낌은 없었다. 이 해설위원은 “투수 1명 키우기가 쉽지가 않다. 오승환의 공백은 어떻게든 다가올 수 있다”라고 신중한 태도를 취했다.
또 하나. 삼성을 상대했던 타자들은 오승환이 주는 아우라가 의외로 크다고 했다. 수도권 구단 한 베테랑 타자는 시즌 중 “오승환의 구위는 대단히 뛰어나다. 하지만, 몇 년간 오승환을 보면서 익숙해진 것도 사실이다. 전혀 못 치겠다는 수준은 아니다”라고 했다. 하지만 이 타자는 “오승환이 주는 이름값에 주눅 드는 경우가 많았다. 경험이 적은 젊은 타자들이 더 그렇다. 그리고 오승환이 나오기 전에 리드를 잡아야 한다는 생각에 성급한 타격을 할 때도 있었다”라고 했다.
오승환도 사람이다. 컨디션이 좋은 날도, 그렇지 않은 날에도 등판을 했다. 상황에 따라서 평소보다 구위가 좋지 않은 날도 더러 있었다. 그러나 오승환 특유의 저돌적인 자세와 흔들리지 않는 위압감 등에 짓눌려 위축된 케이스도 있었다. 그런 오승환 대신 다른 투수가 마무리를 맡는다면, 타자로선 상대적으로 부담감을 털어낼 수 있다는 의미다. 야구는 멘탈게임이다. 오승환보다 오승환의 아우라를 걷어낸 타자들이 더욱 자신있게 삼성 마운드를 상대할 수 있다.
새로운 마무리가 오승환의 몫을 해내야 한다는 심리적인 부담감을 떨치는 것 역시 분명한 과제다. 이런 변수들이 삼성에 좋게 작용한다면 전력 약화는 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반대의 경우라면 삼성의 내년 행보는 불안해질 수도 있는 게 사실이다. 또 다른 해설위원도 “오승환은 삼성 야구의 상징이었다. 그의 공백은 단순하게 접근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했다.
▲ 외부환경이 미치는 변수들
오승환 없는 삼성을 쉽게 예측할 수 없는 이유는 외부 환경에서도 느껴진다. 일단 FA 시장이 과열될 조짐이다. 강민호, 정근우, 이종욱, 손시헌, 박한이, 장원삼 등 매물이 쏟아져 나온다. 이들이 원 소속구단이 아닌 타구단으로 이동한다면 9개구단의 전력은 요동칠 수 있다. 삼성 역시 내부 FA 단속 및 외부 FA 시장 참가 여부에 따라 향후 전력이 강해질 수도, 약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내년엔 외국인선수 제도가 2명 보유 2명 출장에서 3명 보유 2명 출장으로 바뀔 가능성이 크다. KBO는 현재 외국인타자를 무조건 1명씩 뽑게 하는 방향으로 제도 수정을 검토 중이다. 이럴 경우 9개구단의 전력은 요동칠 수 있다. 삼성으로선 외부 환경이 어떻게 변화할지 모르기 때문에 내부적인 리스크를 낮춰야 좋은 성적을 노릴 수 있다. 오승환 공백 메우기가 정말 중요하다는 의미다. 결국 현 시점에선 삼성이 향후 어떤 행보를 보일 것인지 점치기란 매우 어렵다. 어쨌든 오승환을 내보낼 삼성의 향후 행보는 매우 흥미로울 것 같다.
[삼성 선수들.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 DB]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