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이은지 기자] 영화 '폼페이: 최후의 날'의 개봉일이 다가오는 가운데, 인간화석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폼페이: 최후의 날'은 사상 최대의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단 18시간 만에 사라진 도시 폼페이를 배경으로 하는 재난 블록버스터이다. 영화는 79년 대폭발로 화산재 아래에 묻힌 채 잊혔다가 1592년 한 농부에 의해 우연히 발굴되면서 세상에 등장한 '인간 화석'을 모티브로 삼았다.
'인간 화석'은 수천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사람들의 표정과 몸짓이 완벽하게 보존될 수 있던 이유가 밝혀져 더욱 주목할 만하다. 생존자가 거의 없어 경험담을 들을 수는 없으나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말해주는 '인간 화석'은 고고학자들이 화산재 속 빈 공간에 보존된 유골의 형태에 맞춰 석고로 틀을 제작하면서 그 모습을 드러냈다.
특히 공포에 질려 일그러진 표정을 한 수백 구의 '인간 화석'은 당시의 상황이 얼마나 처절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도 원형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한 '인간 화석'은 화산 폭발, 지진 해일에 이어 화산 쇄설류 현상이 연속적으로 일어났기에 가능했다.
이른바 '불타는 산사태'라고도 불리는 이 현상은 화씨 1830의 고온의 화산재가 시속 450마일로 덮쳐 사람들은 순간적인 열에 의해 죽음을 맞이하거나 불에 타거나 질식사 당했고 미생물 또한 순식간에 제거되어 몸의 부패가 일어나지 않았다. 이렇게 보존된 시신은 시간이 지나며 삭아 없어졌지만, 그 형태와 표피만큼은 화산재와 사람의 몸을 구분하는 경계로 남아 대재난으로 인해 멸망된 도시의 마지막 순간을 전해주고 있다.
무엇보다 '인간 화석'이 지금까지도 놀라움을 안겨주는 이유는 아기에게 젖을 먹이는 어머니, 연기를 피해 고개를 숙인 남자, 서로를 끌어안은 연인 등 다양한 형태는 물론이고 금화를 잔뜩 움켜쥔 탐욕스러운 귀족, 금목걸이와 은제 식기들을 챙겨 골목길을 빠져나가는 여인, 수술용 칼과 겸자를 챙기려던 의사 등 자신에게 가장 소중한 것을 지키려는 최후의 모습까지도 생생하게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간 화석'의 다양한 군상은 죽음에 이르는 순간까지도 지켜야 하는 것들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는 여지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폼페이: 최후의 날'은 오는 20일, 전 세계 최초 개봉 예정이다.
[영화 '폼페이: 최후의 날' 스틸컷. 사진 =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이은지 기자 ghdpssk@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