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마이데일리 = 대구 김진성 기자] “염경엽 감독과 따로 합의를 하진 않았다.”
넥센과 LG는 플레이오프를 치르면서 ‘포수 홈 블로킹’을 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여기서 말하는 홈 블로킹 금지란 홈에서 포수와 주자가 크로스 상황일 때 포수가 홈플레이트를 완전히 막고 버티면서 홈에 슬라이딩을 시도하는 주자와 포수 모두에게 부상을 유발할 가능성을 차단하자는 의미. 메이저리그의 경우 올 시즌부터 공이 포수에게 오기 전까진 주자에게 자리를 비켜줘야 한다. 그리고 홈으로 쇄도하는 주자가 홈 태그를 위해 기다리는 포수에게 의도적인 바디체크를 할 수 없게 했다. 매년 홈 접전 시 부상자가 많았기 때문.
국내에서도 홈 블로킹 방지에 대해 합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시즌 중간부터 꽤 높았다. 그러나 합의해야 할 세부사항이 있었다. 일단 크로스 상황이라는 것에 대한 확실한 정의를 할 필요가 있다. 또, 실제로 합의를 한다고 해도 포수가 곧바로 합의사항을 지킬 수 있느냐에 대한 회의감이 있었다. 포수가 오랜 시간 야구를 하면서 몸에 벤 홈 블로킹 자세를 하루아침에 바꾸는 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국내 포수 대부분 공을 잡기 전에 미리 반쯤은 홈플레이트를 다리로 막고 있다.
삼성 류중일 감독도 실제 시즌 도중 홈 블로킹 금지에 합의하는 게 쉽지는 않다고 털어놨다. 그는 “볼이 포수에게 들어오기 전까진 포수는 무조건 주자에게 자리를 비켜줘야 한다”라고 했다. 이어 “문제는 포수가 공을 잡기 직전 주자가 홈에 슬라이딩을 할 때 포수가 블로킹을 시도하는 것인데, 금지 타이밍을 어느 시점에 하느냐가 문제”라고 했다.
류 감독은 “굳이 합의를 하지 않더라도 공이 들어오기 전에 포수가 블로킹을 하면 안 되는 것이다”라고 했다. 사실 넥센 염경엽 감독과 LG 양상문 감독이 합의한 것도 그 정도였다. 서로 크로스 타이밍이라고 판단할 때 포수가 블로킹을 시도하고, 주자가 홈 베이스 터치를 위해 슬라이딩을 할 때 충돌하는 건 어떨 수 없다는 게 류 감독 견해. 그는 “포수는 손만 가는 게 아니라 이미 무릎부터 자동으로 홈을 막는 습관이 돼 있다. 그걸 하루아침에 하지 말자고 합의해도 곧바로 바꾸는 게 쉽지 않을 것이다”라고 했다.
국내야구도 내년에는 어떻게든 이 문제에 대해 합의를 이끌어내야 할 것 같다. 일단 삼성과 넥센은 홈 블로킹에 대한 구체화된 합의 없이 한국시리즈를 진행한다.
[류중일 감독.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 DB]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