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마이데일리 = 온라인 뉴스팀] 지난해 은행권 전세자금대출액이 35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자금대출 신규취급액만 16조원으로 전년대비 42%나 증가했다. 금융감독원의 ‘국내은행의 주택 및 전세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의 전세자금대출(잔액기준)은 전년 대비 25% 증가하여 35조원을 넘어섰다. 전세자금대출 폭등은 전셋값 상승률이 물가상승률과 가처분소득 상승률 등을 크게 웃돌았기 때문이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6년간 물가상승률은 14.1%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같은 기간 전세가격은 44%(아파트 58%)가 증가했다. 전세가격은 연평균 6.3%(아파트 7.9%)가 상승하여 2년마다 계약이 갱신될 때마다 기존 전세금의 15% 이상을 추가로 마련해야 한다. 도시 2인 이상가구의 가처분 소득은 같은 기간 65만원(22.2%) 상승하는데 그쳐 실질적인 부담은 더욱 크다. 물가상승분을 고려하여 한 가구가 늘어난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두 저축한다면 1800만원이지만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1억1300만원에서 1억8900만원으로 7600만원이 증가했다.
아파트를 기준으로 보면 연평균 전세가격 상승률(7.9%)은 소득증가율(3.5%)의 두 배를 넘어섰으며 서울은 아파트 전세가격이 1억9600만원에서 3억2600만원으로 무려 1억3000만원이나 증가했다. 전세가구는 전체 가구의 21.6%인 397만 가구이며 이 가운데 267만가구(65%)가 부채를 갖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저금리에 매매를 생각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현재 시중은행의 아파트 매매잔금대출 금리는 2.7~3.5%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아파트담보대출은 2.4~3.4%대로 각 은행 및 지점별로 상이하다. 한 금리비교사이트 관계자는 “단순히 저금리 상품을 찾을 것이 아니라 상환계획에 맞는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대출액이 크고 대출기간을 길게(20~30년) 잡을 경우 고정금리 상품이 안정적일 수 있으며 3년 이내에 상환계획이 있다면 중도상환수수료(1.2~1.5%)가 좋은 상품을 찾아야 한다.
무료 주택 아파트담보대출 금리비교 사이트에서는 금리비교는 물론 상환계획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한다. 뱅크-앤가이드(www.bngplus.kr)는 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2.45~3.25%) 이외에도 전세자금대출(3.1~3.7%), 빌라담보대출, 오피스텔(3.5~3.9%) 등 각종 부동산담보대출의 금리비교를 받아볼 수 있다. 무료 상담문의는 해당 사이트를 통한 신청이나 유선을 통해 바로 이용이 가능하다
[사진제공 = 뱅크앤가이드]
마이데일리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