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최지예 기자] JYP엔터테인먼트(이하 JYP) 수장 박진영의 예언이 맞아 떨어지고 있다.
최근 JYP는 성적이 부진했던 과거를 딛고 올해 다시 한 번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올해 초 걸그룹 미쓰에이의 수지가 열애설에도 불구하고 일곱 번째 프로젝트 앨범 '컬러스'(Colors)로 음원차트를 흔든데 이어 박진영의 신곡 '어머님이 누구니'로도 크게 히트를 치며 롱런했다.
이후 발매한 가수 백아연의 '이럴꺼면 그러지말지'가 차트 역주행의 기염을 토한 데 이어 그룹 2PM 역시 자작곡 타이틀곡 '우리집'으로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최근 몇 년 SM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를 비롯해 치고 올라오는 큐브엔터테인먼트, FNC엔터테인먼트 등 사이에서 제대로 된 힘을 드러내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앞서, 지난 3년 박진영은 JYP 내 시스템 전면 개혁을 꾀했다. 대표 프로듀서인 자신이 없이도 체계적으로 돌아가는 시스템을 만들어 냈다. 이와 관련해 박진영은 지난 4월 진행된 인터뷰에서 " 내가 죽었다고 생각하고 내가 없어도 되는 회사를 만들자는 게 제 계획이었다"며 "그렇게 하게 된 계기는 모든 선배 회사들이 1조란 벽을 갖고 있더라. 이 벽은 어떻게 넘을 수 있을까 생각했는데, 결국 대량생산이 가능하지 않으면 한 회사가 1조의 매출을 낼 수 없겠다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뭔가를 창조해 내는 일을 시스템화 한다는 게 굉장히 어려운 일이었다. 다만, 어차피 우리는 1등을 다투고 있는 회사가 아니니까 지난 3년 간 여러 가지 시스템을 계속 시도해 볼 수 있었다"며 "어떤 방식을 회의에 넣어 보고, 빼 보고, 사람을 교체했다. 제가 곡을 안 쓰고 작곡가 30명을 길렀다"고 밝혔다.
여러 시행착오를 거친 후 JYP는 박진영 없이도 그룹 내 체계적이고 자주적으로 의사 결정이 이뤄졌고, 결과가 차근 차근 나오기 시작했다. 박진영은 "15&의 '사랑은 미친짓'의 수익이 좋다. 스튜디오 제이라는 레이블을 설립했는데, 이렇게 좋은 결과를 해냈다"며 "결국은 레이블이다. 10개 이상 해 보자는 생각이다"고 말했다.
이어 "앞서 여러 시행착오를 통해 어디까지 결정권을 넘기고, 어떻게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해 세팅이 됐다. 앨범을 위해선 A&R 팀에게 80점 이상을 받는 룰이 굳어져 가고 있다. 제 이번 앨범도 94점을 받았기 때문에 나갈 수 있게 됐고 예산을 갖다 쓸 수 있었다. 시스템 대로 한번도 예외 없이 점수가 안 되면 못 나가는 거다"며 "이렇게 시스템이 자리 잡는데 3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박진영은 해당 시스템 구축에 대해 설명하며 "언젠가는 시가총액 1조의 매출을 올리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이밖에 "이 시스템대로 가면 다른 회사들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내 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예측하기도 했다.
이런 박진영의 예언이 맞아 떨어져 가고 있는 걸까. 잠시 주춤했던 JYP 가수들의 성장세가 무섭다. 지난 3년간 시스템을 구축하고, 자리를 잡았다고 했던 박진영의 예언이 현실로 드러나고 있는 모습이다.
[가수 박진영, 걸그룹 미쓰에이, 가수 백아연, 그룹 2PM.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DB, JYP엔터테인먼트 제공]
최지예 기자 olivia731@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