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김미리 기자] 영화 ‘해어화’ 속 윤우(유연석)는 상처 입은 민중의 마음을 위로하기 위해 노래 ‘조선의 마음’을 작곡하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그가 찾아낸 뮤즈가 연희(천우희)다.
‘해어화’(감독 박흥식 제적 더 램프 배급 롯데엔터테인먼트)는 1943년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조선의 마지막 기생에 대한 이야기를 그렸다. 이 영화에서 이야기하는 마지막 기생은 소율(한효주)로, 그 역시 ‘조선의 마음’을 부르고 싶어 하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다. 이 ‘조선의 마음’은 당시 조선을 살아가던 사람들을 대변할 수 있는 인물인 연희가 부르게 된다.
사실 연희만큼 ‘조선의 마음’을 부른데 적합한 인물도 없다. 연희가 기생학교인 대성권번에 들어오게 된 사연은 드라마틱하다. 노름빚을 진 아버지가 자신의 딸을 팔아넘긴 것. 이곳에서 허드렛일을 하던 연희는 대성권번의 권번장이자 기생들을 교육하는 선생 산월의 딸인 소율과 친해지고, 소율 덕에 기생이 되기 위한 길을 걷게 된다.
연희의 둘도 없는 친구이자 함께 빼어난 기생이 되기 위해 정진 중인 소율은 기생이 갖춰야 할 덕목 모든 부분에서 뛰어난 실력을 지닌 인물. 이에 연희는 의도하든 의도치 않든, 자신이 자각하든 하지 않든 소율의 그늘 아래서 살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누구보다 강하고 질기게 삶을 이어온 존재가 바로 연희다.
반면 소율은 모든 것을 다 가진 사람이다. 예인으로서의 자질과 외모, 풍족한 집안 그리고 산월에게서 이어진 기생으로서의 훌륭한 핏줄까지 무엇 하나 빠지지 않는다. 이런 소율 보다 연희가 조선 민중들의 마음을 대변하고 위로해줄 ‘조선의 마음’을 부르는 게 더 와 닿는 건 당연한 이치.
천우희는 극 중 연희가 부르고 윤우가 작곡한 노래 ‘조선의 마음’의 1절을 직접 작사했다. 이 노랫말을 보면 천우희가 연희 그 자체로 살았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천우희는 뛰어난 연기력으로 연희의 마음을 속속들이 이해하게 만든다.
‘홀로 메마른 들판 위에 기댈 곳 하나 없이 외로이 서 있는 못다 핀 꽃 한 송이. 기나긴 어둠 속에 태양은 뜨지 않아 힘겨운 하루하루 눈물만 흐르네. 눈물아 비 되어라 서글픈 맘을 적셔다오. 침묵아 이젠 천둥이 돼라 숨죽인 저 대지를 흔들어 다오. 설움아 너는 폭풍이 돼라 눈감은 하늘을 모두 잠깨워다오’
위는 천우희가 직접 작사한 ‘조선의 마음’ 가사. 이 가사만 봐도 천우희가 얼마나 연희가 되어 살았는지, 연희의 마음을 오롯이 이해하고 공감하고 있었는지 알 수 있다.
‘조선의 마음’가사 속에는 외로우면서도 서글픈, 이 현실을 벗어나고 싶은 조선 그리고 연희의 심경이 절절히 담겨 있다. 이 가사와 천우희의 마음을 울리는 목소리, 영화 속 상황들이 어우러져 ‘해어화’를 더욱 가슴 아리게 완성해 냈다.
[배우 천우희와 영화 ‘해어화’ 스틸.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DB,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김미리 기자 km8@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