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마이데일리 = 광주 김진성 기자] 불규칙바운드가 단기전 흐름을 바꿀 수 있다.
25일 광주 KIA챔피언스필드에서 열린 한국시리즈 1차전. 타자의 타구가 내야 그라운드와 외야 잔디의 접점에서 두 차례나 튀었다. 불규칙바운드가 되면서 내야수가 도저히 아웃카운트로 연결하기 힘들었다.
역시 8회말 선두타자 최형우의 타구가 결정적이었다. 외야 잔디로 나가 깊숙한 1,2간 타구에 대비한 2루수 오재원을 분노하게 만들었다. 당시 타구는 빗맞았다. 처음부터 느리게 굴렀고, 스핀이 크게 걸렸다. 결국 외야로 넘어가는 순간 공이 크게 튀며 오재원의 키를 넘겼다. 오재원은 글러브를 그라운드에 내동댕이쳤다.
최형우가 생산한 불규칙바운드가 한국시리즈 1차전 하이라이트 승부처를 만들었다. 잘 던지던 함덕주가 나지완을 상대로 스트레이트 볼넷을 내줘 순식간에 무사 1,2루가 됐다. 두산이 5-3으로 앞선 상황. 1루 대주자 신종길은 동점주자였다.
이때 두산 벤치의 대응이 적절했다. 김태형 감독이 곧바로 마무리 김강률을 투입, 안치홍을 3루수 병살타, 이범호를 삼진으로 처리하며 위기를 넘겼다. 반면 KIA 김기태 감독은 이미 안타 2개를 친 안치홍의 좋은 타격감을 믿고 강공으로 밀어 붙였으나 결과적으로 실패로 돌아갔다.
야구는 결과론이다. 무사 1,2루서 김강률이 흔들릴 수도 있었다. 안치홍과 이범호가 적시타를 쳤다면 KIA가 승부를 뒤집을 수도 있었다. 안치홍이 번트에 성공, 1사 2,3루 찬스를 만들었다면 또 어떤 결과가 나올지 알 수 없었다.
이 장면만 놓고 보면 불규칙바운드로 KIA가 행운을 누렸으나 두산의 적절한 대처가 빛났다. 불규칙바운드에, 혹은 그 이후 상황에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경기 흐름이 바뀔 수 있다. 나아가 단기전의 전체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회초 1사 2루서 박건우가 터트린 1타점 좌전적시타 역시 불규칙바운드가 됐다. 최형우 타구와 마찬가지로 타구가 내야 그라운드에서 외야잔디를 만나는 순간 툭 튀어 올랐다. 타구는 더욱 느리게 좌익수 최형우에게 굴러갔다. 물론 이 타구는 처음부터 안타 코스였다. 발 빠른 2루 주자 민병헌은 홈을 밟을 가능성이 컸다.
광주 KIA챔피언스필드는 좀처럼 불규칙바운드가 나오지 않는 편이다. 그러나 의외로 한국시리즈 1차전서 두 차례나 발생했다. 심지어 28~30일 한국시리즈 3~5차전이 열리는 서울 잠실구장은 내야 그라운드 자체가 울퉁불퉁해 불규칙바운드가 적지 않게 나오는 장소로 유명하다. 불규칙바운드에 대한 내야진, 외야진, 배터리, 벤치의 대처가 또 하나의 변수다.
[광주 KIA챔피언스필드(위), 잠실구장(아래).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 DB]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