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신소원 기자] "김향기 배우는 진짜 연기 신동같아요."
7일 오전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는 영화 '증인'을 연출한 이한 감독의 인터뷰가 진행됐다. 이한 감독은 '완득이'(2011), '우아한 거짓말'(2014), '오빠생각'(2016)에 이어 '증인'으로 돌아왔다.
'증인'은 유력한 살인 용의자의 무죄를 입증해야 하는 변호사 순호(정우성)가 사건 현장의 유일한 목격자인 자폐 소녀 지우(김향기)를 만나면서 펼쳐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김향기는 영화 '우아한 거짓말', '오빠생각'에 이어 세 번째로 이한 감독과 호흡을 맞췄다. '우아한 거짓말'에서 김향기는 친구들의 괴롭힘 가운데서도 밝은 모습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천지 역을 맡았다.
이후 김향기는 총 2,600만 관객을 동원한 '신과함께' 시리즈에서 월직차사 덕춘으로 흥행 파워까지 보이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이한 감독에게 '배우 김향기'에 대해 물었다.
"김향기 배우를 어렸을 때 처음 봤을 때는 천재, 신동, 타고났구나, 싶었어요. '어쩜 저렇게 연기를 잘 할 수가 있지?' 생각했어요. 감정이 눈에서 굉장히 잘 전달이 돼요. 그런 부분은 타고났다고 봐야죠. 똑같이 마음의 슬픔을 갖고 있어도 어떤 사람은 잘 드러나지 않는데, 향기는 미세한 변화도 화면에 잘 드러나요. 굉장히 큰 재능이에요. '우아한 거짓말' 때 기억으로는 조금 현장에서 바꾸기도 하는 편인데 그 때는 살짝 당황하기도 했던 것 같은데 지금은 굉장히 유연하게 해줬어요. 이야기를 많이 하고 자기 의견도 내고 굉장히 노력하는 배우구나, 라는 것을 알게 돼서 짠하기도 했어요. 향기는 계속 연기자를 하려고 하고 있고, 그걸 이겨나가야 한다고 생각하니까요. 농담으로, 제가 향기와 가장 많은 작품을 해서 결혼식 주례를 서주고 싶다고 했어요. 하하."
김향기는 인터뷰 때마다 이제 갓 스무살이 됐다는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어른스러운 모습이다. 인터뷰 당시 김향기는 배우의 조건으로 건강관리와 장기적으로 페이스 조절을 잘 하는 배우가 되겠다고 어른스럽게 말한 바 있다.
"애어른 같다는 느낌에 대해서는 나쁜 의미는 아닌 것 같아요. 그만큼 혼자 생각하는 시간이 많은 배우예요. 그런데 또 그것과 다르게, 일반인 친구들도 많고 아역 배우들의 롤모델처럼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어린 나이에 유명해지고 바쁘면 친구들도 못 사귀고 자기 안에 갇히게 되고 보통 사람들의 생각을 알지 못하게 되다보면 표현력에 한계가 오게 되는데 향기는 주변에 대화가 잘 통하는 친구, 부모님, 스태프들이 있어요. 아마도 애어른처럼 보이는 건 아역에서 성인 연기자로 넘어가는 시기라서 그런 것 같아요."
이한 감독은 김향기를 처음 만났던, '우아한 거짓말' 당시를 떠올렸다. 10대 초반이었던 김향기는 '우아한 거짓말' 촬영 때 아파서 입술을 파르르 떨고 있었지만 "할 수 있다"라며 아픔을 속으로 삼켰다. 이한 감독은 촬영장에서 깜짝 놀랐고 푹 쉬게 해줬다며, 당시 김향기의 배우로서의 진지한 자세와 열정을 느끼게 됐다고 전했다.
김향기는 '증인'에서 자폐 소녀라는 어려운 캐릭터를 연기했고, 훌륭히 잘 해냈다. 이한 감독은 해당 캐릭터를 그리기 위해 책, 다큐멘터리, 영화 등을 참고했고 실제 자폐 성향을 가진 사람들을 많이 만나며 그들의 행동과 말투를 연구했다.
"저도 이 작품을 접하기 전에 자폐에 대해 잘 알지 못했어요. 알아보면서 깨달은게, 자폐라는게 아주 공통적인 특징이 있는게 아니구나, 라는 것을 알게 됐어요. 그렇다면 굳이 어떤 사람을 지정해서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어요. 롤모델을 실존 인물을 삼지 말자고 생각했고 향기 배우와 만나서 특징들을 계속 해봤어요. 어떤 것에 민감하고 버릇은 뭐고 어떤 것을 싫어하고 좋아하는지를 조금씩 만들어갔어요."
이한 감독은 어떠한 롤모델을 정해놓고 캐릭터를 그린 것이 아닌지라, 불안감 속에서 촬영을 했다고 솔직하게 털어놨다. 조심스러운 캐릭터 설정이었고 롤모델을 없이 새로운 캐릭터를 창조한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처음으로 배우들과 영화 시사를 했을 때를 묻자 김향기의 반응부터 나왔다.
"향기는 영화를 보면서 제 옆에서 계속 웃고 계속 울더라고요.(웃음) 감독은 객관적으로 영화를 잘 못봐요. 저도 편집할 때까지는 잘 못들어가는데 모니터 시사 때는 잘 못들어가는데 향기는 자기 작품을 보면서 웃고 울면서 보길래, 정말 순수한 아이구나, 싶었죠."
영화 속에서 눈이 맑은 지우는 스크린을 보며 "아저씨는 좋은 사람입니까?"라고 묻는다. 이한 감독 스스로도 그 질문을 자신에게 적용해본 적이 있다고 말했다.
"그럼요. 제가 그런 걸 잘 못하니까, 좋은 일들을 많이 하신, 자기 희생을 통해서 자기 불이익이 있는 것을 알면서도 옳다고 믿는 것들을 열심히 해내는 분들이 사회에 많잖아요. 그런데 저는 그 정도가 되는 사람은 아니고 유일하게 영화를 통해서 그런 일을 조금이라도 하면 하지 않을까 싶어요. 이 영화를 제 나이 또래만 보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연령대 분들이 봐주셨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느끼는 것도 조금씩 달랐으면 해요."
[사진 =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신소원 기자 hope-ssw@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