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NBA
[마이데일리 = 최창환 기자] 결국 실낱같은 희망이 사라졌다. 챔프전 직행에 익숙했던 우리은행이 플레이오프를 거쳐 챔프전 우승을 노려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아산 우리은행은 우리은행 2018~2019 여자프로농구 정규리그 잔여경기 결과에 관계없이 2위를 확정지었다. 시즌 내내 팽팽한 선두 싸움을 펼친 청주 KB 스타즈에 1위를 넘겨줬고, 플레이오프에서 용인 삼성생명과 겨루게 됐다.
‘2위 우리은행’. 상당히 낯선 자리다. 암흑기를 걷던 우리은행은 2012-2013시즌 위성우 신임 감독을 임명, 철옹성 같았던 신한은행을 무너뜨리며 단번에 명가를 재건했다. 터널이 길었지만, 이후 우리은행의 행보는 탄탄대로였다. 위성우 감독의 지도력에 박혜진, 임영희 등 주축선수들의 활약이 더해져 2017-2018시즌까지 6시즌 연속 통합우승의 금자탑을 쌓은 것.
우리은행은 그간 갑작스런 선수 이탈, 외국선수 악재, 신흥세력의 견제 등 많은 변수를 뚫고 왕좌를 지켜왔다. ‘올 시즌은 힘들지 않을까?’란 우려는 그간 우리은행에게 기우에 불과한 평가였다.
올 시즌도 출발은 좋았다. 1라운드 전승을 거두는 등 2라운드까지 9승 1패를 기록한 것. 정상일 OK저축은행이 ‘3광’이라 비유해 화제를 모았던 박혜진, 임영희, 김정은은 여전히 건재했다. 올 시즌 역시 외국선수 악재를 겪었지만, 돌아온 김소니아와 박다정의 성장세가 어우러져 상승세를 그렸다.
그러나 경쟁팀인 KB 스타즈와의 3라운드 맞대결에서 접전 끝에 62-63으로 패, 분위기가 급변했다. 우리은행은 이후 타 팀들을 상대로 꾸준히 승을 챙겼지만, 유독 KB와의 맞대결만큼은 접전을 펼치고도 ‘W’를 새기지 못했다. 3라운드부터 7라운드 맞대결까지 내리 5연패를 당한 것. 5점차 이내의 경기가 4차례 나오는 등 모두 접전 끝에 당한 석패였다.
KB와의 맞대결에서 2승 5패로 밀린 여파는 정규리그 순위에 고스란히 반영됐다. 결국 우리은행은 WKBL 신기록인 7시즌 연속 통합우승이 무산됐다.
공교롭게도 우리은행은 전성기를 맞이하기 전 신한은행의 7시즌 연속 통합우승을 저지했던 팀이다. 신한은행은 2007 겨울리그를 시작으로 6시즌 연속 통합우승을 달성한 최강팀이었다. 정선민, 전주원 하은주 등 한국여자농구를 대표하는 스타들부터 최윤아, 김단비, 김연주 등에 이르기까지 세대교체까지 완벽히 이뤄지며 금자탑을 쌓아왔다. 별명도 ‘레알 신한’이었다.
그러나 존 프레스로 중무장한 우리은행의 패기는 막아내지 못했고, 왕좌라는 타이틀을 넘겨주게 됐다. 신한은행의 전성기를 무너뜨린 우리은행 역시 영광의 시대를 만들어왔지만, 보다 탄탄한 선수층을 구성한 KB의 저력만큼은 막지 못한 것이다.
신한은행에 이어 우리은행도 7시즌 연속 통합우승에 실패했지만, 냉정히 말해 타이틀을 지킬 기회는 여전히 남아있다. 플레이오프에서 삼성생명을 꺾고 챔프전에 진출, KB까지 제압한다면 충분히 자존심을 회복할 수 있다. 결국 ‘최후에 웃는 자’가 진정한 승자다. 우리은행의 정규리그 2위 확정은 전성기의 마침표일지, 타이틀 방어를 위한 쉼표였을지 지켜볼 일이다.
[우리은행 선수들. 사진 = 마이데일리DB]
최창환 기자 maxwindow@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