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신소원 기자] "송강호 선배님은 정말 아버지 같았어요. 다정한 분이세요."
30일 오전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진행된 영화 '기생충'(감독 봉준호 배급 CJ엔터테인먼트) 관련 인터뷰에는 배우 최우식이 참석해 취재진과 이야기를 나눴다.
최우식은 영화 '기생충'에서 송강호가 연기한 기택의 아들 기우 역할을 맡았다. 그가 박사장(이선균)네 집으로 과외를 하러 가면서, 두 가족의 걷잡을 수 없는 이야기를 그린다.
개봉일 아침 만난 자리에서 최우식은 영화 개봉에 대해 떨리는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평소 큰 일을 앞두고 긴장하는 성격인 최우식은 제작보고회, 간담회에서도 떨리는 모습을 가감없이 보여주기도 했다.
"항상 많이 떨려요. 기분이 알쏭달쏭해요. 빨리 보여드리고 싶어요. 어제 스타 라이브톡을 했는데 그 때 많이 그나마 긴장이 풀렸어요. 재미있게 보신 것 같아서 좋았어요."
최우식은 봉준호 감독의 신작, 송강호의 차기작에 함께 출연한다는 점에서 캐스팅 단계부터 화제가 됐다.
"분량도 그렇지만, 작품을 처음 하자고 한 다음에 시간이 꽤 지나고 시나리오를 읽었어요. 이름이 기우인 것만 알고 있었어요. 분량이 많아서 좋은 것도 있지만, 좋다기보다는 부모님에게 자랑스럽게 보일 수 있어서요. 사실 기우라는 아이가 극을 처음 시작하고 마무리하는 역할이라서 부담도 컸고 그래서 영화를 처음 볼 때는 더 긴장이 됐어요. 정말 잘 된 밥에 재 뿌릴까봐서요. 지금은 스스로 잘했다는 것보다는 보신 분들이 재미있게 보시니까, 재는 안 뿌렸겠구나 생각하실 것 같아요."
최우식은 영화 '옥자' 이후 캐스팅이 됐다. '옥자'에서는 단순히 트럭을 모는 트럭기사로 깜짝 출연했지만 '기생충'에서는 송강호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비중으로 관객들의 시선을 끌 예정이다.
"내가 '김군'을 할 때, 얼굴을 보고 이 얼굴이 아버지 기택의 아들이었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하셨다고 해요. 촬영 뒤풀이 때 얼핏 들었어요. 다음에 작품 준비된 거 있냐고 했고 그걸 그렇게 크게 생각하지 않았어요. 다음 작품을 위해 몸을 만들어서 이미지를 바꾸고 싶다고 했는데 마른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다고 했어요. 그 때 좀 뭐가 있나 싶었어요."
최우식은 송강호가 '기생충'이라는 작품에 출연이 정해진 상황에서 두 번째로 캐스팅됐다. 시나리오를 보지 않았지만 '봉준호'라는 이름만으로 출연을 결정하고 작품을 기다렸다.
"대사 톤이 궁금해서 보고, 기우가 계속 나와서,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중요한 캐릭터구나 생각했어요. 그 다음에 읽는데 영화가 너무 확 흔들리는 거예요. 운전수가 태우고 있는 승객들을 놀라게 급커브를 트는 것 같아서 너무 신기했어요. 장르도 많은 것 같고 기우로서 보여질 수 있는 얼굴도 많은 것 같았어요. 그래서 얼굴 색깔이 많았던 게 좋았다고 생각했어요. 슬픈 것도 단계별로 많아서 제가 표현할 수 있는 것들이 많을 것 같다고 생각했어요. 정말 불타올랐어요."
최우식은 '마녀' 속 날카로운 귀공자 캐릭터와 달리, '기생충'에서 현실과 붙어있는 청년이라는 점에서 더 신경을 많이 썼다. 둥글둥글한 캐릭터를 연기하면서 고민한 부분이 더 많았다고 털어놨다.
"접근을 하면서 많이 고민을 했어요. 캐릭터 영상 말고 제가 내레이션처럼 트레일러를 만든 게 있었어요. 그것만 봐도 연교 사모님은 색깔이 정말 뚜렷해요. 기우는 그냥 옆집 청년이나 삼촌, 이모에게 이야기할 수 있는 톤으로 말하기 때문에, 제가 제일 자신있는 모습을 많이 쓰려고 했던 것 같아요. 기우가 진짜 계획하고 행동을 실행한 건 또렷하게 잘해요. 그런데 계획이 조금만 어긋나면 문제가 일어나거든요."
'기생충' 속 기택은 기우에게 "아들아, 넌 계획이 다 있구나"라고 말하고 "전 이게 위조나 범죄라고 생각하지 않아요"라고 말한다. 실제로 그에게 인생의 계획을 물었다.
"저도 계획은 세우는데 인생에 계획대로 되는 게 별로 없으니까 당황할 때도 많아요.(웃음) 기우를 하면서 제일 노력했던 부분은, 현장에서 아버지와 최대한 편해야하는게 컸던 것 같아요. 어머니, 기정이와도 그렇지만 아버지와 꼭 그래야했다는 이유가, 사랑하는 건 당연하지만 아무리 마인드컨트롤 하려고 해도 저한테는 송강호 선배님이기 때문에 현장에서 대선배님에게 어떻게 다가갈까 싶었어요. 어느 정도 노력과 코드가 맞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다행히도 제가 '아버지'라고 불렀어요.그래도 될 정도로 진짜 아버지처럼 편하게 인도해주셨어요. 그게 없었다면 정말 힘들었을 거예요. 부담감이 엄청 컸을 텐데, 잘 해주셨어요."
[사진 = CJ엔터테인먼트 제공]
신소원 기자 hope-ssw@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