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부천에 거주하는 영업사원 A 씨(38세, 남)은 날이 더워지는 요즘 벌써부터 여름을 지낼 생각을 하면 두려워진다. A 씨는 평소 땀이 많은 편인데, 특히 여름이면 비 오듯 흐르는 땀 때문에 고객과 악수를 해야 할 때면 난처할 때가 많다. 이런저런 건강식품도 찾아 먹어보고, 다한증에 좋다는 크림도 발라봤지만 효과는 전혀 없었다. 답답해하던 A 씨는 지인의 소개로 한의원을 찾아 한약 치료를 받으면서 증상이 개선되기 시작했고, 이제는 고객을 대할 때 자신감도 생겼다.
다한증(多汗症, Hyperhidrosis)이란 체온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이상으로 땀을 과도하게 흘리는 질환이다. 통증을 유발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수치감을 느끼게 하거나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면서 당사자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부천 으뜸한의원 박지영 원장(한의학 박사)는 "땀은 인체의 체온 조절 기능을 담당하는데 정상적으로 체온이 상승하면 땀샘이 자극을 받아 피부를 통해 땀이 분비되고 이 땀이 증발하면서 체온을 감소시키게 된다"면서 "하지만 손과 발, 겨드랑이, 머리 등에서 부분적으로 혹은 전신에서 필요 이상의 과도한 땀이 분비된다면 다한증을 의심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수밖에 없는 다한증은 땀이 나는 부위에 따라 국소 다한증과 전신 다한증으로 구분된다. 전신 다한증은 주로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에 발병하고, 대부분의 다한증 환자는 손이나 발, 머리 등 특정 부분에서 과도한 땀이 분비되는 국소 다한증에 해당된다.
그 부위에 따라 수족다한증, 두한증이라고도 하며, 잠잘 때 잠자리가 축축해질 정도로 식은 땀을 흘리는 경우는 도한증으로 불린다. 도한증(盜汗症)은 밤에 도둑(盜)이 든 것처럼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땀(汗)을 흘린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박지영 원장은 "특히 도한증 환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수면 중 과도한 식은땀은 수면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각종 미네랄, 염소 등을 포함한 체내 영양 성분인 진액(津液)이 식은땀과 함께 빠져나오면서 면역력을 떨어뜨려 다른 질환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라고 전했다.
한의학에서 다한증의 원인은 과도한 스트레스, 수면 부족, 카페인, 기름진 음식 등으로 자율신경계의 균형이 깨지면서 호르몬 조절 혹은 땀 조절 기능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본다.
박지영 원장은 "다한증을 치료하기 위한 수술이나 시술은 일시적으로 땀의 분비를 막을 뿐, 다른 부위에 땀이 나는 보상성 다한이나 체내에 열을 가두게 됨으로 다른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면서 "진맥 진찰을 통해 환자 개인의 증상과 체질에 따라 맞춤 한약을 처방해서 과도한 땀 분비를 유발하는 근본 원인을 치료하게 되는데, 몸의 열 분포를 고르게 하고 노폐물과 독소, 어혈의 배출을 돕고, 오장육부의 기능과 혈액순환을 도와 자율신경계의 안정을 유도한다면 다한증 증상이 개선된다"라고 전했다.
[사진=부천 으뜸한의원 제공]
이석희 기자 young1997@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