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여름을 앞두고 바다로 휴가를 갈 생각에 다이어트를 급하게 서두르던 20대 후반의 A씨는 갑작스러운 무릎 통증을 느끼고 병원을 찾았다. 노화로 인한 퇴행성 질환이라고 생각했던 ‘슬개골연골연화증’을 진단 받은 A씨는 다이어트를 위해 운동을 격하게 하다가 무릎 관절에 압력이 가해져 슬개골이 손상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슬개골은 우리 몸의 체중을 견디는 완충 역할을 해주는 주요 부위인데, A씨처럼 급격하게 외부에서 충격을 받을 경우 슬개골이 손상되고 무릎 관절에 영향을 주어 통증을 일으킨다.
과도한 운동 외에도 슬개골연골연화증을 일으키는 원인은 평소 굽이 높고 무거운 신발을 신는 경우, 선천적 원인 때문에 슬개골이 물렁해지면서 외부 충격이 그대로 흡수가 되어 슬개골 손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의정부 참튼튼병원 관절외과 배성주 원장은 “슬개골연골연화증의 주된 증상은 무릎 양쪽의 뻐근함과 통증을 동반하는 것”이라고 말하며 “무릎을 움직일 때 걸리적거리는 느낌을 받는 경우, 무릎이 잘 구부러지거나 펴지지 않는 경우, 무릎을 움직일 때 딸깍하는 소리가 나는 경우에는 전문의에게 내원하여 무릎을 정밀하게 진단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슬개골연골연화증 초기 증상일 경우에는 연골 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는 연골주사를 이용해 증상 호전을 시킬 수 있고 온찜질, 보조기 이용, 근력 강화 운동을 병행하여 치료할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병변이 있는 곳을 절제 후 슬개골 관절면을 고르게 하거나 관절의 외측 지대 절골술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무릎이 아프기 전에 슬개골연골연화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리하게 등산이나 계단 오르는 것을 피하고 무릎은 가급적 펴고 앉는 것이 좋다. 또한 일상에서 허벅지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꾸준히 해주어야 한다.
김민희 min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