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세계 3대 신용평가사가 서방의 제재를 받는 러시아의 신용 등급을 일제히 투기 등급으로 강등함에 따라 세계 경제 10위인 러시아 국채가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커졌다.
2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러시아의 국가신용등급을 투자 적격인 ‘BBB’에서 투기(정크) 수준인 ‘B’로 6계단 낮추고 '부정적 관찰 대상'에 올렸다.
피티는 "각국 제재가 러시아의 재정을 악화시키고 자금 융통성을 심각하게 제약한다”고 평가했다. 피치는 한번에 6계단이 내려간 것은 1997년 외환위기를 맞았던 한국 이후 처음이라고 밝혔다.
이날 무디스도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Baa’에서 정크 수준인 ‘B3’로 6계단 낮췄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지난달 25일 러시아를 ‘투기’ 등급으로 하향하는 등 세계 3대 신용평가사가 모두 러시아의 등급을 낮췄다.
로이터에 따르면 3일 모스크바 외환거래소에서 미 달러 대비 루블 가치는 한때 117.5루블을 기록해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
러시아 증시도 세계 증시에서 퇴출된다.
이날 신용평가사들의 러시아 등급 하향이 발표된 후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은 러시아를 오는 9일 장 마감 이후부터 신흥국지수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7일부터 러시아를 퇴출한다. 12일부터는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가 러시아 은행 7곳과 러시아 내 자회사를 결제망에서 배제할 예정이다.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제재가 가중됨에 따라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2일 올해 러시아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 증가에서 7% 감소로 크게 내렸다.
JP모건 역시 러시아의 디폴트(채무상환 불이행) 가능성이 현격하게 커졌다고 지적했다. 서방의 각종 제재 폭탄을 맞은 러시아 경제가 휘청이면서 국가부도 가능성까지 나온 것이다.
글로벌시장 일각에서는 러시아 경제가 냉전 종식 이후 최악의 상황을 맞게 될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참고 이미지 사진:AFPBBNews]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