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TV조선 방송화면 캡처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 캠프 선대위원장을 맡았었던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오는 9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 1주년이 되는 것과 관련 “특별하게 뭐가 잘됐다고 평가할 만한 게 없다”고 혹평했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김종인 전 위원장은 6일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윤석열 대통령이) 여러 가지 정치 여건이나 경제 여건이 굉장히 어려운 상황에서 대통령이 됐다”며 “여야 간의 협의를 잘해서 대통령이 바라는 바가 이행될 수 있도록 했으면 가장 좋았을 텐데, 대통령이 야당을 상대하려고 하는 그런 생각이 없기 때문에 이런 상황이 내년 총선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김종인 전 위원장은 “더군다나 여당인 국민의힘이 그 기능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며 “전당대회에서 대표를 선출하는 과정에 여러 가지 혼란 상황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과연 전당대회가 끝나고 나서 국민의힘이 정치력을 발휘해서 자기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 굉장히 회의적”이라고 했다.
국민의힘 전당대회 윤심(尹心) 논란에 대해서는 “대통령께서 대표 선출에 대해서 아무런 의사 표시를 안 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며 “김기현 당대표 후보가 만약에 1차 투표에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면 당은 상당히 혼란스러운 상황으로 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종인 전 위원장은 “(김기현 후보가 결선 투표에서 최종 승리한다고 하더라도) 당이 종전같이 대통령의 의중대로 따라가지 않았다는 모습을 보인 것”이라며 “대통령의 입장에서 상당히 거북스러운 상황이 도래할 수도 있다”고 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이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제3당을 창당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분당이 되려면 현역 의원들이 그룹으로 빠져나가야 된다는 이야기인데 선거를 앞두고 그런 모험을 하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일부 의원이) 공천에서 탈락한 이후에 분당한다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다. 사실 제3의 세력이 생기려면 금년 여름부터는 최소한 시작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국민연금기금위원회 산하 상근 전문위원으로 검사 출신 한석근 변호사가 임명돼 야권이 반발한 것과 관련해서는 “윤석열 대통령이 광범위한 사람에 대한 소위 (인사)주머니가 없다”며 “자기가 거느리고 있던 검사를 가장 잘 알기 때문에 그런 측면에서 그런 인사가 이루어지지 않나 이렇게 본다”고 했다.
김종인 전 위원장은 “그런 거는 가급적이면 좀 탈피를 해야 하는데 거기에서 피하지를 못하는 것이 조금 아쉽다”고 했다.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