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자극적 문구·과장된 표현으로 이용자 현혹
‘대주주 적격성’ 경영 리스크 타개 위한 무리한 마케팅
권선동 의원 “금융위, 빗썸 지배구조 제대로 파악해야”
[마이데일리 = 신용승 기자] 최근 가상 자산 거래소 빗썸의 공격적 마케팅이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불공정 약관 및 허위 광고 논란 때문이다.
빗썸이 신세계와 함께 진행한 쓱썸쏨(쓱데이 빗썸이 100억 쏨), 다니엘 헤니를 위시한 최대 20억 거래소 이동 지원금 이벤트는 100억과 20억을 강조하며 이용자를 현혹할 수 있는 자극적인 문구와 과장된 표현으로 점철돼 있다.
이용자 오인지를 유도하는 조항도 여전하다. 쓱썸쏨 이벤트의 경우 혜택으로 지급된 가상 자산은 30일 내 미 거래 시 소멸되며, 이동 지원금 이벤트의 경우 당일 거래 대금 기준 미달 시 전액 회수 된다. 이와 같은 내용은 광고에는 별도 명시돼 있지 않아 이용자들이 직접 홈페이지 공지를 읽지 않으면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이용자 지갑 내 전송한 코인을 어떤 방식으로 회수, 소멸 시킬지도 명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용자와 거래소의 가상 자산을 분리 관리해야 하는 가상 자산 이용자 보호법에도 저촉된다.
빗썸은 이미 지난 수수료 무료 이벤트 당시 이용자가 직접 쿠폰을 등록해야 하는 방식을 사용, 250억원 규모의 수수료 이익을 벌어들여 논란을 빚은 바 있다. 국정감사에서 지적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빗썸의 꼼수는 시정되기는 커녕 한층 더 교묘하게 소비자를 우롱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이벤트 혜택 기준도 실상 극소수의 ‘고액투자자’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어폐가 있다. 빗썸의 거래소 이동 지원금 이벤트에서 당일 지원금을 받으려면 타 거래소에서 3개월 월평균 거래대금이 1억원 이상 수익률 50%를 달성해야 한다. 타 거래소 인증 거래 대금이 2250억원 이상인 동시에 빗썸에서 매월 2275억원 이상 거래해야 한다. 이벤트 참여자들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수수료 전면 무료 혜택도 받지 못하는 데다 거래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지원금이 소멸될 수도 있다. 광고에서 20억원을 강조하던 빗썸의 통 큰 혜택이란 결국 통 큰 거짓말이나 다름 없는 셈이다.
빗썸이 불러온 역풍은 가상 자산 시장 전반을 위협하고 있다. 가상 자산 관련 각종 커뮤니티에서는 자전거래 등을 통해 1억 거래금 만드는 방법 등이 암암리에 공유, 이상거래를 부추기며 시장의 건전성을 해치고 있다.
빗썸이 이렇게 적극적으로 대고객 마케팅에 나서는 이유는 빗썸의 오래 된 병폐로 꼽혀온 경영 리스크 때문이다. 최근 빗썸은 대주주 적격성과 그에 따른 경영 리스크로 인해 대중의 뭇매를 맞고 있다. 검찰은 지난달 진행된 공판에서 빗썸의 실 소유주로 알려진 강종현씨에게 배임증재 혐의로 징역 1년 6개월을 구형했다. 강씨는 2021년 9월 프로골퍼 안성현씨와 이상준 전 빗썸홀딩스 대표에게 A코인을 빗썸에 상장해 달라는 청탁과 함께 수십억원을 건넨 혐의를 받고 있다. 이정훈 전 빗썸 의장도 2018년 10월 BXA코인을 상장하겠다며 김병건 BK메디컬그룹 원장에게 빗썸 인수를 제안, 약 1200억원에 달하는 사기 혐의를 받고 있다.
권선동 국민의힘 의원은 “빗썸의 실소유자로 추정되는 두 명 가운데 이정훈은 사기 혐의로 재판 중이고, 강종현은 횡령·주가 조작 등으로 구속됐다”며 금융위에서 빗썸의 지배구조를 제대로 파악해야한다며 소리 높여 비판했다.
빗썸이 경영 리스크를 타개하고자 쏟아 부은 마케팅 비용은 어마어마하다. 빗썸의 광고 선전비는 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두배 넘게 늘었고, 판매 촉진비도 662억원으로 상반기 16억원 대비 41배나 증가했다.
엄청난 비용과 위험을 감수하고 있음에도 빗썸의 이용 회원수는 오히려 폭락했다. 월간 활성 사용자(MAU)를 보면 반년만에 약 50만명의 이용자가 이탈, 164만에서 110명으로 떨어졌다. 이는 빗썸에 대한 고객 신뢰 하락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하루에도 수십 건씩 빗썸에 대한 대중의 질타가 올라오고 있으며, 업계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안팎으로 빗썸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높아지며 빗썸에 대한 제재도 예고됐다. 올해 국정감사에서는 빗썸에 대한 고발과 성토의 장이 열렸다. 금융감독원은 국내 가상 자산 사업자에 대한 검사를 예고하고 지난 9월부터 빗썸 현장 검사에 돌입했다. 이복현 금감원장도 빗썸을 “들여다보겠다”며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내년 하반기로 예고한 빗썸의 IPO 전망도 비관적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들은 “IPO 시장에 한파가 일면서, 건실한 기업들도 상장을 포기하거나 연기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빗썸이 경영 리스크와 부실한 상장 정책 등의 의혹을 해소하지 못한다면 IPO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입을 모았다.
한편 빗썸은 대주주 적격성과 불투명한 지배구조 이외에도 어베일 시세 조정 논란, 센트 상장 논란, 페치코인 발행량 논란 등 연이은 의혹을 받고 있다.
신용승 기자 credit_v@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