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김미리 기자] 보조출연자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결과 이들의 처우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는 '2013년 보조출연자 근로환경 실태조사'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보조출연자 대부분이 생계유지가 힘든 상황이다. 보조출연자들의 지난해 총소득을 조사한 결과 1000만원 미만의 수입을 버는 비율이 88.71%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고, 세부적으로는 100만원 미만이 23.56%, 600만원 이상 1000만원 미만이 18.39%을 기록했다.
이는 최저임금법에 따른 2012년 월 최저임금액(주 40시간제) 95만 7220원의 년 단위환산액인 1148만 6640원과 비교했을 때 기본적인 생계비 수준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런 저임금 구조는 50%에 달하는 종사자들이 생계를 이유로 이직을 고민하게 만드는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또 보조출연자들은 응답자의 30.21%가 1일 평균 근로시간이 12~18시간에 달한다고 답했고, 24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도 11.98%를 기록했다. 최장 근로시간에 대한 질문에는 48시간을 초과한 적이 있다고 답한 보조출연자가 22.13%로, 장기간 근로 관행이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조사대상자의 60% 이상이 4대보험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나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의 경우 10% 미만, 산재보험과 고용보험의 경우 약 30%만이 가입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금체불, 부당해고와 산업재해, 성희롱 등의 부당행위를 경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외에도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비율은 8.65%에 불과했으며, 근무조건을 고지 받거나 확인하지 못하였다는 응답자도 60.31%에 달했다.
영진위 관계자는 "보조출연자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권리에 대한 인식과 함께 이들의 의식변화에 앞서 산업 내 쟁점들을 적극적으로 풀어나가고자 하는 산업계 제반의 적극적 노력과 함께 관련 부처 및 정부기관의 정책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사진 = 지난해 보조출연으로 얻은 총소득표]
김미리 기자 km8@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