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허설희 기자] 'K팝스타3' 유희열의 등장, 오디션 프로그램의 새 지평을 열었다.
24일 방송된 SBS '일요일이 좋다-K팝스타3'에서는 실력파 참가자들이 대거 도전한 가운데 안테나뮤직의 유희열이 새 심사위원으로 등장했다.
앞서 YG엔터테인먼트 양현석, JYP엔터테인먼트 박진영과 함께 SM엔터테인먼트 대표로 보아가 나섰던 시즌1, 시즌2와 달리 시즌3에서는 안테나뮤직이라는 다소 생소한 소속사가 유희열을 앞장 세워 등장했다. 아이돌을 중심으로 한국 가요계를 이끌어가는 대형 기획사가 아닌 기획사의 등장은 방송 전부터 흥미를 자아냈다.
유희열은 안테나뮤직을 두고 '중소기업'이라는 표현까지 했다. K팝스타, 마니아 취향이 아닌 일반적인 대중의 사랑을 모두 받아야 한다는 점에서 'K팝스타'는 대형 기획사 수장이 심사위원으로 나서는 것이 당연했다.
하지만 시즌1, 시즌2에 이어 시즌3까지 제작되며 'K팝스타'는 변화가 필요했다. 앞서 MBC '위대한 탄생'이 폐지되고 엠넷 '슈퍼스타K5'가 예전과 같은 명성을 얻지 못한 채 쓸쓸히 종영된 만큼 새로 시작되는 'K팝스타3'는 대중의 욕구를 충족시킬 그 무언가가 필요했다.
이에 'K팝스타3'는 다양성을 위해 유희열이라는 카드를 내세웠다. 음악적인 조예가 깊은 것은 세 심사위원 모두 마찬가지이지만 유희열의 음악이 다른 두 심사위원에 비해 대중적이지 않은 것이 사실. 한류에 앞장 서는 스타들이 대부분 대형 기획사, 아이돌이라는 점에서 'K팝스타'가 원하는 스타 역시 음악성과 스타성을 동시에 갖춘 도전자였기 때문에 유희열, 안테나 뮤직의 등장은 생소하면서도 신선했다.
첫방송 전 유희열의 첫 녹화, 그의 심사평, 다른 심사위원들간의 조화가 관심을 모은 것도 이 때문이다. 유희열이라는 존재는 한국 가요계에 있어 분명 큰 부분을 차지 하지만 자신의 음악 색깔이 강한, 대중의 구미에 맞는 음악을 하기보다는 뮤지션의 성향이 강한 안테나 뮤직의 등장은 가히 시선을 사로 잡기에 충분했다.
그 결과, 'K팝스타3'에서의 유희열은 첫방송부터 남다른 존재감을 드러냈다. 유희열의 등장은 참가자에게만 시선이 쏠리지 않게 하기에 충분했다. 그간 'K팝스타3'에서 볼 수 없었던 다양한 평들이 유희열에게서 나왔다.
유희열은 음악적으로는 냉철했다. 남다른 예능 센스로 각종 예능 프로그램에서 만들어진 예능 이미지가 강한 유희열은 역시 뮤지션이었다. 이미 그의 음악성을 인정하고 지지하는 팬들은 많지만 최근의 유희열의 인기는 다소 예능감에 치우치는 모습을 보였다.
앞서 유희열은 MBC '무한도전' 가요제를 통해 음악성을 드러내기는 했지만 그의 유머, 애드리브가 더 주목 받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tvN 'SNL 코리아' 크루로까지 합류하면서 예능 이미지는 더욱 강하게 각인됐다.
하지만 'K팝스타3' 첫방송 후 음악적으로 냉철한 모습을 보이는 유희열에게서 그의 뿌리는 음악임이 확실히 증명됐다. 왜 그가 오디션 프로그램 심사위원으로까지 나서게 됐는지, 대중에게 사랑 받는 스타를 키우는데 달인이 된 양현석, 박진영과 어떻게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지가 그의 심사에서 드러났다.
유희열의 존재감이 빛난 것은 이 같은 음악성 뿐만이 아니었다. 유희열은 베테랑 음악인임에도 불구 자신이 부족한 부분에 있어서는 쉽게 인정하고 다른 이를 존중할 줄 알았다. 댄스 실력이 출중한 참가자에게는 칭찬을 아끼지 않았고 다른 두 심사위원의 특기를 높이 샀다.
또 유희열은 시청자의 입장에서 시즌1, 시즌2를 봐온 만큼 그 때의 감정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었다. 심사위원만의 입장이 아닌 시청자의 입장, 대중의 시선을 간직한 채 심사위원으로서의 냉철함을 더한 것이다.
때문에 유희열의 존재는 'K팝스타3'에 새 바람을 불어 넣는데 충분했다. 더 나아가 다소 침체된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색다른 재미를 주는데 성공했다. 'K팝스타3'가 스타를 배출해내기 위한 긴 항해를 시작한 가운데 유희열의 활약이 더욱 기대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K팝스타3' 새 심사위원 유희열. 사진 = SBS 'K팝스타3' 방송 캡처]
허설희 기자 husullll@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