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마이데일리 = 안경남 기자] 대한축구협회가 오는 2018/2022 FIFA월드컵의 대한민국 심판 배정을 위한 ‘월드컵 심판 퓨처 트리오 프로젝트’를 시행한다. 이는 최근 동일국가 또는 동일 언어권의 주심 1명과 부심 2명을 한 팀으로 구성해 대회 배정을 실시하고 있는 FIFA의 '심판 트리오' 정책에 발맞추기 위한 축구협회의 노력이다.
축구협회는 지난 수년 간 FIFA월드컵 심판 양성을 목적으로 심판 엘리트 프로그램을 시행해왔다. 그러나 지난 2014 브라질 월드컵 심판 파견에 실패하면서, 차기 대회와 2022년까지 내다보는 심판 장기 육성 프로젝트를 통해 3인 1조로 구성된 여섯 명의 심판을 지속적으로 지원 및 관리하기로 결정했다.
프로젝트에 선발된 심판들에게는 매월 소정의 체력단련비 및 어학개발비가 지원되며, 유럽 및 남미지역으로의 해외연수 및 훈련프로그램, 트리오별 멘토(심판강사) 배정 등을 비롯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축구협회는 적정 연령, 심판 평가점수, 체력, 외국어 구사능력 등을 종합해 심판분과위원회의 공정한 심사를 거친 6명의 심판을 선발했다. 선발된 6명의 심판은 2개 조로 나뉘어 심판 기술, 어학, 체력 능력 향상 등을 포함하는 연간 관리 프로그램인 ‘퓨처 트리오 프로젝트’에 참가, 월드컵 및 국제 대회 배정을 위한 자질 향상에 힘쓰게 된다.
축구협회는 본 프로그램 시행을 통해 국내 심판의 수준 향상에 동기를 부여하고, 장기적으로는 꾸준한 월드컵 심판 배출을 통한 한국 축구의 위상 제고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정해성 축구협회 심판위원장은 지난 4일 오후 축구회관 3층 심판위원장실에서 6명의 심판들과 면담을 갖고 격려했다. 정 심판위원장은 '퓨처 트리오 프로젝트'의 시행 취지와 함께 다각적인 지원을 약속하며 참가 심판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참여를 당부했다.
<퓨쳐 트리오 프로젝트 참가 심판 명단>
- 트리오1: 김종혁(프로/국제) 주심, 정해상(프로/국제) 부심, 윤광열(프로/국제) 부심
- 트리오2: 김상우(프로/국제) 주심, 최민병(프로/국제) 부심, 양병은(프로/국제) 부심
<역대 FIFA월드컵 참가 대한민국 심판 현황>
- 1994년 미국 월드컵: 박해용 부심
-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전영현 부심
- 2002년 한일 월드컵: 김영주 주심
- 2006년 독일 월드컵: 김대영 부심
-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정해상 부심
<2014 브라질월드컵 afc 심판 파견 현황>
- 배정: 일본, 호주, 우즈베키스탄, 바레인 각 1 트리오
- 예비: 이란 1트리오
* 1트리오는 1명의 주심과 2명의 부심으로 구성
[사진 = 대한축구협회 제공]
안경남 기자 knan0422@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