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마이데일리 = 허설희 기자] 서울을 대표하는 문화 관광 축제이자, 뮤지컬인들과 시민들이 함께 직접 만들고 참여하는 국내 유일의 창작뮤지컬 축제인 '제4회 서울뮤지컬페스티벌'이 오는 8월 17일부터 24일까지 충무아트홀 일원과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서울광장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4회를 맞이하는 '서울뮤지컬페스티벌'은 충무아트홀의 모든 공연장과 갤러리, 컨벤션센터, 야외광장을 비롯해 서울광장에서 뮤지컬인들과 관객이 함께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서울뮤지컬페스티벌 사무국은 이번 페스티벌이 K-POP을 잇는 차세대 신한류의 주역인 K-Musical의 창작 및 제작, 유통 환경을 지원하는 구심점이 돼 향후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 문화콘텐츠 시장에서 우리의 창작콘텐츠가 유통될 수 있는 창작뮤지컬의 국제진출 플랫폼을 지향하고자 한다는 당찬 포부를 밝혔다.
올해 '서울뮤지컬페스티벌'은 FACP(아시아문화예술진흥연맹), CHIMFF 2015(충무로뮤지컬영화제 프리페스티벌)와 공동개최로 진행되어 뮤지컬 관계자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FACP는 아시아 13개국의 역량 있는 공연 기획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서로 교류를 통한 범 아시아 문화예술의 발전과 미래가치를 모색하기 위해 설립된 연맹으로 매년 1회 회원국가 도시 순회를 하며 총회를 개최해 왔다.
올해 서울에서 진행되는 FACP 총회는 기조연설자로 PMC프러덕션의 송승환 회장이 '한국 뮤지컬시장의 성장과 비전'에 대해 강연을 하며, 이어 前 극단 '사계' 사장인 이즈미 오자와가 '뮤지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라는 주제로 연설을 펼칠 예정이다.
그동안 FACP에서 클래식을 주로 다뤘던 것에 반해 이번 서울 총회는 최근 아시아 공연 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한국 뮤지컬 시장 환경에 초점을 맞춰 '아시아 공연예술의 산업화 비전과 전망과 뮤지컬을 통한 문화교류 및 협력발전 모색 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내년에 첫 공식 행사를 앞둔 CHIMFF 2015는 뮤지컬과 영화가 만나는 새로운 축제의 탄생을 예고하는 가운데 성공적인 행사 유치를 위해 '제4회 서울뮤지컬페스티벌'과 사전 페스티벌을 함께 진행함으로써 향후 산업적 교류 및 시너지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이에 CHIMFF 2015는 국내 여타 영화제와 차별화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중구의 대표축제로 새롭게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지난 3년간 '서울뮤지컬페스티벌'은 뮤지컬 관계자나 종사자가 전체 축제를 주도하고 진행해 왔다. 뮤지컬을 중심으로 하나의 축제를 만들었다는 것만으로도 큰 의미를 가지지만 축제로써 일반 시민들까지 적극적인 참여가 이뤄지지 않았던 점에 주목해 올해는 관객 참여 프로그램에 비중을 둬 관객의 입장에서 편하고 즐겁게 놀다 갈 수 있는 문화 축제로 거듭나고자 한다.
지난해 관객들의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던 '옥션콘서트'와 '컴투게더'를 비롯해 올해는 이번 페스티벌 오너 셰프로 선정된 홍석천이 '먹거리장터'에서 뮤지컬인들과 관객들을 위한 특별 메뉴를 선보일 예정이며 배우 김아영이 진행 중인 '사심콘서트' 형식을 페스티벌 안으로 들여와 올해 10주년을 맞은 창작뮤지컬 '빨래'의 주역 배우들과 관객들이 한 자리에 만나는 특별한 행사를 준비 중에 있다.
관객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끄는 '제4회 서울뮤지컬페스티벌'은 이러한 관객 참여 프로그램들이 수익 사업이 아닌 공공 행사로 사회공헌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축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일반 시민들의 의견에 귀 기울이며 말 그대로 뮤지컬을 테마로 함께 즐길 수 있는 하나의 장을 만들고자 한다.
일반 시민들의 참여를 적극 수용하고 극대화하는 것이 이번 페스티벌의 모토이지만 '서울뮤지컬페스티벌'의 대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는 '예그린어워드'는 단순히 현재의 한국 뮤지컬시장을 반영하는 시상식이 아니라 일반 부문의 시상을 확대해 창작지원프로그램 고유의 색깔과 장점을 더 발전시킬 예정이다.
뮤지컬 '여신님이 보고 계셔', '날아라 박씨', '난쟁이들' 등 매 회마다 가장 핫한 창작뮤지컬을 선보여 온 ‘예그린앙코르’는 경쟁력 있는 소극장용 창작뮤지컬의 상업화를 목적으로 제작지원비와 극장대관을 지원함으로써 안정적인 공연 프러덕션 운영에 도움을 주는 '서울뮤지컬페스티벌'을 대표하는 창작지원프로그램이다.
올해 '예그린앙코르'는 제작지원비와 극장 대관, 필요 시에는 충무아트홀이 공동제작을 지원하는 등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프러덕션 운영을 통해 창작자 양성 및 창작뮤지컬의 성공적인 상업화 사례를 확보하고자 한다. 본선 진출작으로는 뮤지컬 '레드슈즈', '아랑가', '나는 조선의 아이돌이다'이 선정됐으며 페스티벌 기간 동안 한 작품씩 쇼케이스 무대에 오를 예정이다.
창작뮤지컬 활성화와 함께 국내 뮤지컬 시장의 흐름과 현황을 집약하여 볼 수 있는 '서울뮤지컬마켓'은 K-Musical에 대한 관심은 있으나 여전히 정보가 부족한 해외 바이어들을 위한 아카이브이자 동시에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제4회 서울뮤지컬페스티벌' 포스터. 사진 = '제4회 서울뮤지컬페스티벌' 제공]
허설희 기자 husullll@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