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마이데일리 = 안경남 기자] 2018년 FIFA(국제축구연맹) 러시아월드컵 본선 도전하는 슈틸리케호가 최종예선에서 이란, 우즈베키스탄, 중국 등과 한 조에 속했다. 무난한 듯 보이지만, 제법 까다로운 조 편성이다.
12일 오후 5시 30분(한국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된 러시아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조추첨식에서 울리 슈틸리케 감독이 이끄는 한국(FIFA랭킹56위) 축구대표팀은 이란(42위), 우즈베키스탄(66위), 중국(81위), 카타르(83위), 시리아(110위)와 함께 A조에 포함됐다. B조는 호주(50위), 일본(57위), 사우디아라비아(60위), 아랍에미리트(68위), 이라크(105위), 태국(119위)이다.
최종예선은 A, B조의 1, 2위 팀이 본선에 직행하고 3위 두 팀은 홈 앤 어웨이 플레이오프로 승자를 가른 뒤 북중미카리브해 최종예선 4위팀과 다시 홈 앤 어웨이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갖는다.
올 중동을 피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좋은 일정도 아니다. 우즈베키스탄, 중국 등 다크호스로 꼽히는 두 팀이 섞였다. 특히 우즈베키스탄은 비행거리가 8시간으로 중동 원정에 버금간다. 여기에 중국은 홈 텃새가 심하다.
일정도 만만치 않다. 포트2에 포함된 한국은 홈과 원정을 번갈아 치른다. 9월 1일 중국(홈)을 시작으로 9월 6일 시리아(원정)과 2연전을 치른다. 이어 10월에는 6일 카타르(홈), 11일 이란(원정)과 대결한다. 홈 경기를 먼저 치르는 건 이점이지만 곧바로 5~6시간의 시차가 발생하는 장거리를 이동하는 것은 단점이다.
다행히 중반 일정은 비교적 순조롭다. 11월 15일 우즈베키스탄을 홈으로 불러들여 2016년 마지막 예선을 치른 뒤 내년 3월 23일 중국(원정), 28일 시리아(홈)을 상대한다. 비교적 가까운 중국 원정을 다녀 온 뒤 홈에서 시리아를 맞이한다.
문제는 후반기다. 2017년 6월 13일 카타르(원정)를 시작으로 8월 31일 이란(홈), 9월 5일 우즈베키스탄(원정)을 소화해야 한다. 2차례 원정이 포함된데다 홈에선 최근 맞대결서 3연패로 열세에 있는 이란과 붙는다. 초반에 승점을 쌓지 못할 경우 자칫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
[사진 = 대한축구협회]
안경남 기자 knan0422@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