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장영준 기자] 고려 명장 윤관을 아는 이는 그리 많지 않다. 12세기, 여진을 격파하고 동북 9성을 개척한 윤관. 그는 첫 전투에서 참패를 겪은 뒤 여진 정벌의 칼을 갈기 시작한다.
오는 5일 방송될 KBS 1TV '역사저널 그날'에서는 한반도 영토의 기틀을 잡은 윤관의 여진 정벌 과정을 다룬다.
1104년, 고려 국경을 침입한 여진의 군대에 뼈아픈 패배를 당한 윤관. 그는 결국 자세를 낮추어 여진과 강화를 맺고 돌아온다. 이후 윤관은 패배의 원인을 깨닫고 당시 고려 국왕 숙종에게 "제가 패한 까닭은 적은 기병인데, 우리는 보병이라 대적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라고 건의한다.
바로 강력한 기동력을 가진 여진의 기병에 대응하기 위해 '별무반(別武班)' 창설을 건의한 것. 윤관은 기병으로 구성된 '신기군'과 보병 부대인 '신보군' 외에 다양한 특수 부대를 편성하고, 현직 문·무 관리를 제외한 말을 가진 모든 남성과 과거 준비를 하지 않는 20세 이상의 남성을 모두 동원한다. 여진을 깨부수기 위해 철저히 준비한 윤관. 3년 후 윤관은 17만 대군을 이끌고 대대적인 여진 정벌에 나선다.
1107년, 여진을 정벌하기 위해 북쪽 국경으로 진격한 윤관과 17만 고려군. 그런데 윤관은 공격에 나서기는커녕 예전에 사로잡아둔 여진 인질을 석방하겠다며 여진의 추장들을 불러들인다. 이후 한곳에 모인 400여 명의 여진 추장에게 술과 음식까지 대접하하는 윤관. 절치부심, 만반의 준비를 끝내고 여진 정벌에 나선 그가 돌연 왜 이런 행동을 한 걸까?
윤관의 후한 대접에 경계를 풀고 술에 취한 여진의 추장들. 결국 이들은 복병을 동원한 윤관의 기습 공격에 모조리 죽임 당한다. 이후 윤관의 고려군은 차례대로 여진의 성을 함락시키고, 고려는 새롭게 확보한 여진의 영토에 아홉 개의 성, 즉 '동북 9성'을 축조한다. 3년간 준비한 여진 정벌이 빛을 본 순간이었다.
1109년, 고려 조정에서는 동북 9성 반환에 대한 논의가 열린다. 삶의 터전을 빼앗긴 여진족이 필사적으로 고려에 저항했기 때문이다. 이 무렵 계속된 여진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동북 9성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 고려. 결국 여진에게 '자손 대대로 고려에 조공을 바칠 것'이라는 맹세와 '기와 조각 하나도 고려에 던지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내고 동북 9성의 반환을 결정한다.
이후 윤관은 동북 9성 반환 논의와 함께 탄핵 당한다. 고려의 여진 정벌과 동북 9성 개척의 역사가 허무하게 막을 내린 것이다. 그러나 고려는 이를 계기로, 후에 점점 더 세력을 키워 금나라를 건국하는 여진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조선 시대 세종의 6진 개척 역시 동북 9성이란 고려의 역사를 토대로 시행될 수 있었다.
지금의 한반도 영토를 확립하는 데 선구적 역할을 한 고려의 여진 정벌과 동북 9성. 오는 5일 오후 9시 40분, '역사저널 그날' 윤관, 여진 정벌의 칼을 갈다 편에서 이야기한다.
[사진 = KBS 제공]
장영준 digout@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