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NBA
[마이데일리 = 인천 김진성 기자] 전자랜드는 확실히 위축됐다. 현대모비스가 전자랜드를 초토화했다.
보통 야투 감각이 좋지 않을 때, 수비 응집력과 활동량을 끌어올리고, 리바운드에 집중하면서 자연스럽게 몸을 푸는 경우가 많다. 현대모비스와 전자랜드 모두 17일 챔피언결정3차전 초반 야투 감각은 좋지 않았다.
특히 2차전서 라건아를 압도한 찰스 로드의 컨디션이 상당히 나빴다. 로드는 1쿼터에 단 1점도 넣지 못했다. 그렇다고 현대모비스가 수비법을 특별히 바꾼 건 아니었다. 라건아가 45도 지점에서 공을 잡을 때만 트랩을 들어갔고, 주로 라건아가 1대1로 막았다. 라건아 역시 2차전과 마찬가지로 3차전 초반 출발은 좋지 않았다.
국내선수들도 위축됐다. 2차전과 같은 끈끈한 수비 응집력이 나오지 않았다. 외곽에서 스크린에 걸리면 그대로 3점슛 찬스를 내준 1차전과 흡사했다. 정영삼과 박찬희가 양동근, 이대성에게 스크린을 뚫고 앞으로 따라가는 파이트스루를 했다. 그러나 날카로움이 떨어졌다. 현대모비스는 양동근, 이대성을 앞세워 활로를 뚫었다. 전자랜드가 의도적으로 놔둔 배수용의 3점포도 들어갔다.
그나마 전자랜드는 이대헌의 초반 움직임이 돋보였다. 함지훈과 라건아의 포스트업을 버텨낸 뒤, 외곽에서 함지훈의 3점포를 블록으로 저지했다. 3점포도 한 차례 꽂았다. 그러나 다른 선수들의 활동량이 떨어지면서, 시너지를 전혀 내지 못했다. 계속 저조한 흐름.
팟츠 공백이 본격적으로 드러난 2쿼터. 전자랜드는 김상규를 넣었다. 로드와 토종 포워드들의 빅라인업. 그리고 1차전서 재미를 본 지역방어를 했다. 그러나 현대모비스는 외곽슛 찬스를 잘 만들었다. 배수용과 이대성의 외곽포가 계속 들어가면서 전자랜드의 흐름.
전자랜드가 2쿼터 중반 잠시 흐름을 탔다. 로드가 라건아를 상대로 잇따라 리바운드를 따내면서 속공이 살아났기 때문. 이때 정효근과의 2대2에 의한 로드의 뒤늦은 첫 덩크슛, 김낙현의 돌파와 뱅크슛 등이 있었다. 로드도 라건아의 공격을 한 차례 블록으로 저지했고, 3점포를 터트렸다. 하지만, 전반 막판 현대모비스 역시 업템포로 응수. 라건아와 섀넌 쇼터 특유의 속공이 위력적이었다. 전반 종료 직전 패턴에 의한 쇼터의 사이드 3점포까지. 1차전 양동근의 결승 3점포와 같은 위치였다.
현대모비스가 3쿼터를 완벽히 장악했다. 함지훈과 라건아가 골밑에서 지배력을 높였고, 양동근과 쇼터의 돌파까지 곁들여지면서 더욱 달아났다. 쇼터와 양동근이 이끄는 속공까지. 전자랜드의 수비 응집력이 다시 떨어졌다.
전자랜드는 3쿼터 중반 지역방어에 성공하고, 잠시 강상재와 김낙현의 득점으로 흐름을 탔으나 제공권에서 밀리면서 추격에 어려움을 겪었다. 현대모비스는 속공과 골밑 옵션을 곁들여 15점차 이상 달아났다.
4쿼터 초반 흐름이 중요했다. 초반에 스코어가 유지되거나 더 벌어지면, 팟츠가 빠지면서 로드의 체력 부담이 커진 전자랜드가 와르르 무너질 수 있기 때문. 초반 두 차례 실수가 있었다. 이대헌이 라건아에게 너무 깊게 도움 수비를 들어가다 함지훈의 3점포를 놓쳤다. 이후 정효근이 포스트업을 하는 과정에서 문태종이 중심을 잃고 넘어졌음에도 노마크 기회를 놓쳤다. 그러자 현대모비스는 2대2에 의한 외곽 패스게임에 의해 이대성이 3점포를 터트렸다. 76-55, 경기종료 7분7초를 남기고 처음으로 20점차 이상 벌어진 순간이었다.
사실상 이때 경기는 정리됐다. 현대모비스의 89-67 대승. 시리즈 스코어 2승1패 리드. 전자랜드 유도훈 감독은 경기 전 "로드를 40분 뛰게 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계속 쫓기면서 로드를 제대로 쉬게 해줄 수 없었다. 충분희 쉬지 못한 로드는 경기 막판 공수에서 응집력이 떨어졌다. 전자랜드로선 공격이 뻑뻑할 때 풀어줄 수 있는 '건강한' 팟츠가 그리웠다.
현대모비스는 4분24초전 양동근이 5반칙 퇴장했으나 이미 승부가 갈린 뒤였다. 라건아가 2차전과는 달리 로드에게 압승했고, 2~3쿼터에 쇼터의 얼리오펜스가 활기를 띄면서 현대코비스의 손쉬운 승리. 이대성의 정확한 외곽포도 있었다.
전자랜드는 팟츠 부상이슈와 새 외국선수 투 할로웨이를 떠나 1~2차전의 강렬한 공수 활동량, 응집력이 순식간에 사라진 게 뼈아팠다. 리바운드 응집력은 물론, 외곽에서의 상대 스크린에 대한 대처, 이를테면 파이트스루의 끈적함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야투 난조도 심각했다. 4차전서 반드시 살려야 한다.
[라건아(위), 이대성(아래). 사진 = 인천 한혁승 기자 hanfoto@mydaily.co.kr]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