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전 국민의힘 상근대변인 출신 김연주 시사평론가. /국민의힘 홈페이지 캡처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을 중심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영국 순방에서 홀대를 당하고 지각을 했다는 취지의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디지털타임스에 따르면 전 국민의힘 상근대변인 출신 김연주 시사평론가는 "영국인을 대표하는 입장에서 국내의 '조문'에 관한 '정치적 쟁점화'에 명확한 의견을 제시해 준 점에 대해서는 일편 감사하면서도, 어떻게든 대통령을 깎아내리는 데에만 혈안이 되어 '홀대'라 우겨대는 야당에 대해서는 정말 할 말이 없을 정도"라고 날카롭게 대립각을 세웠다.
김 평론가는 21일 '홀대와 참사'라는 제하의 글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 내외가 공군 1호기를 타고 영국에 도착했을 때, 트랩 아래에는 영국 정부를 대표한 두 사람과 왕실 대표 한 사람이 영접을 나왔으며, 리셉션장으로 가는 경로에는 사이드카 4대가 콘보이를 맡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평론가는 "알려져 있다시피 정상급과 왕족이 500여명에 이르렀는데다, VIP로 분류되는 규모만 해도 2000여명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영국 측이 상대적으로 대한민국 정상에 대해 예우와 준비에 신경 썼음을 알 수 있다"고 짚었다.
이어 "오늘 콜린 크룩스(Colin Crooks) 주한 영국 대사가 한국 언론에 출연해, '영국 방문, 국왕과의 만남, 장례식 참석이 모두 조문이다'라고 발언했다"며 "'홀대'의 사전적 의미는 '소홀히 대접함'이며, 비슷한 말로는 '괄시', '냉대', '천대' 등이 있다.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입장하는 각국 정상들 사이 우리 대통령 모습에서, '홀대'나 '괄시'가 느껴졌는가"라고 공개 질의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홀대'에 관한 시각적 묘사라면, 정상회담 3박 4일 일정 가운데 10끼 중 8끼를 혼밥으로 충당했던, 지난 정부 중국에서의 그 장면이 최적화된 설명이 아니겠는가"라며 "또한 의전 참사라면 2018년 10월 벨기에에서 열린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에서 혼자만 사진에 찍히지 못했던 그 정황은 어찌 빼놓을 수 있겠는가"라고 민주당 등 야권을 비판했다.
끝으로 김 평론가는 "내 눈에 들보에 관한 기억을 망각하고 어이없는 공격과 비판에만 골몰하는 민주당의 행태는 정말이지 상식적 차원에서 납득과 이해가 어렵다"고 거듭 날을 세웠다.
앞서 전날 민주당 등 야권은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장례식 참석차 런던을 방문했던 윤 대통령의 '조문 취소' 논란을 고리로 여권에 사실상의 맹폭격을 퍼부었다. 대통령실의 '외교 무능'을 부각함으로써, '윤석열 정권 실정론' 공세의 지속적인 동력으로 삼겠다는 정치적 전략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김성환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원내대책회의에서 "조문 외교를 하겠다며 영국에 간 윤 대통령이 교통통제를 이유로 조문을 못하고 장례식장만 참석했다"며 "교통통제를 몰랐다면 무능하고, 알았는데 대책을 세운 것이라면 더 큰 외교 실패, 외교 참사"라고 지적했다.
서영교 민주당 최고위원도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영국 측의) 홀대라면 홀대가 되지 않도록 했어야 되는 것이고, 우리 쪽 실수였다면 큰 문제"라며 "교통 통제를 감안하지 못했던 우리 쪽의 의전 문제도 있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은 뉴욕 현지 프레스센터 브리핑을 통해 "왕실과의 조율로 이뤄진 일정"이라며 "왕실 입장에선 모두가 일찍 와도 낭패일 것이다. 수많은 국가의 시간을 분배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 부대변인은 윤 대통령을 비롯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셰바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 알베르 2세 모나코 국왕,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그리스 대통령,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오스트리아 대통령 등 다수 정상급 인사가 조문록을 작성했다고 설명했다.
또 "참배가 불발됐거나 조문이 취소됐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일각에선 대통령이 지각했다는 주장도 있다.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윤 대통령의 전용기가 런던에 먼저 도착해 30여분 이상 기다리는 일도 있었다"면서 "교통 상황이 좋지 않아 영국 왕실에서 참배 및 조문록 작성을 다음 날로 순연하도록 요청했고, 저희는 왕실 요청에 따라 그렇게 한 것"이라고 했다.
끝으로 이 부대변인은 "의전에 실수가 있었다, 홀대를 받았다는 것 모두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전날 김은혜 홍보수석이 말했듯 한 국가의 슬픔을, 특히 인류의 슬픔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행태가 더 큰 슬픔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