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마이데일리 = 구현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동통신시장 경쟁 촉진을 위해 ‘제4이동통신사’ 찾기에 나섰지만 업계 반응은 시큰둥하다. 이미 사업성이 없어 실패한 모델을 또다시 소환한 까닭이다.
22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과기부는 5G(5세대 이동통신) 28GHz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제4이동통신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달 말 해당 주파수 대역 할당 공고를 내고 제4이동통신사 모집에 착수한다.
공고가 나오기 전이지만, 이미 이동통신업계에선 제4이동통신사 모집이 성공하기 힘들다고 보고 있다. 후보로 언급된 KB국민은행, 토스 모두 “알뜰폰 사업에 집중할 것이며, 제4이동통신사 신청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입장을 밝혔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사업성이 없다 판단해 발을 뺀 사업을 다른 기업이 떠맡는 격이어서다. 이동통신 3사가 사업성이 없다 판단한 이유는 28GHz 대역 특성에 기인한다.
28GHz 대역은 전국망으로 활용되는 3.5GHz와 달리 투과율이 떨어져 커버리지가 좁다. 광대역을 이용해 많은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전송할 수 있지만, 이를 활용한 사업계획을 짜기가 어렵다.
더군다나 28GHz 대역을 할당받은 기업은 기지국 구축 등에 상당한 투자를 시행해야 한다. 과거 이동통신 3사도 과기부가 요구한 기지국 구축 등 조건을 이행하지 못했고, 이에 과기부가 할당취소 처분을 내렸다.
초기 사업투자 비용이 낮아 사업자만 70여개에 달하는 알뜰폰과는 상황이 다르다. 알뜰폰 사업은 납입자본 3억원, 정보통신기술사·통신설비기능장 등 1명 이상 기술인력을 두고 이용자보호요건을 과기부에 제출하면 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의식해 과기부는 신규사업자 부담을 낮추기 위해 기본 통신서비스는 알뜰폰으로, 핫스팟 지역에서만 28GHz 망을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동통신업계 관계자는 “기존 이동통신 3사도 28GHz 기지국 구축 등 투자집행을 부담스러워 했다”며 “기존 사업자가 실패한 사업을 신규사업자에 할당하는 것은 무리수”라고 말했다.
[사진 = 픽사베이]
구현주 기자 winter@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