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美 트럼프, 철강·알루미늄에 추가관세 행정명령
포스코·현대제철, '최악' 실적 악화 속 관세 부과 철퇴
자동차·가전·반도체도 경쟁력 악화 우려 증폭
韓정부, 행정명령 대응책 효과 미지수
[마이데일리 = 이재훈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폭탄' 전쟁에 국내 철강업계는 물론 자동차·가전·반도체 업계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포스코·현대제철 등 철강업계는 물론 한국산 철강을 미국으로 수입, 완제품을 생산하는 현대차, 삼성전자, LG전자 등도 위기에 직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예고한 대로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임을 공식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 집무실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포고문에 서명하면서 "예외나 면제가 없다"고 밝혔다.
당장 이날 포고문 서명으로 주요 대미 철강 수출국 중 하나인 한국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알루미늄 제품에 10% 관세를 각각 부과했었다.
당시 한국은 미국과 협상을 통해 철강 관세를 면제받는 대신 수출 물량을 제한하는 쿼터제를 수용, 현재 한국은 대미 철강 수출에서 '263만t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문제는 이번 트럼프 행정명령 서명으로 향후 25%의 관세가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이날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관세도 검토 중"이라고 밝혀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도 미국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엎친데 덮친 격이다.
당장 국내 업체들은 만약의 사태까지 염두에 두고 대응책 마련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철강업계는 기존 쿼터제가 폐기되고 모든 국가에 일괄적으로 관세가 부과될 경우 일본, 중국 등 경쟁국들도 영향을 받아 상호 유불리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철강 노조의 총파업 방침은 악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제철 노조는 11일 충남·당진·포항·인천·광주 등 5개 전체 사업장에서 24시간 총파업에 돌입하고 상경 투쟁을 벌인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가전업체와 자동차 업계도 발등에 불이 붙었다. 냉장고나 세탁기, TV 등 완제품을 생산할 경우 원자재에서 철강이 차지하는 비중이 13%나 된다. 삼성전자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뉴베리카운티에 연산 100만대 규모 가전제품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고, LG전자는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에 연산 180만대 규모 세탁기·건조기 공장을 운영 중이다.
현대차·기아는 현대제철, 포스코를 비롯한 국내 제철소에서 생산한 철강을 미국에서 사용한다. 이 때문에 현대제철은 미국에 전기로 방식의 제철소 건설을 검토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철강협회와 수출기업 긴급 점검회의를 통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다음주 수출전략회의를 열고 범부처 비상수출대책을 발표할 방침이다.
이재훈 기자 ye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