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국 저가 철강 공세에 K-철강 살린다…'반덤핑' 카드 꺼낸 정부
반덤핑 관세 최대 38%…1~2개월 내에 예비 관세 부과 전망
중국 후판 관세, 국내 중소형 조선사 '가격상승→경쟁력 저하'
국내 중소 조선사 '직격탄' 우려 목소리 ↑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정부가 저가에 공급되던 중국산 후판에 칼을 빼들었다. 중국산 후판에 최대 38%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예비 판정 결과를 발표하면서 그간 부침을 겪어왔던 국내 철강업계는 국산 후판의 가격 경쟁력이 향샹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중국산 후판의 덤핑방지를 위해 잠정 관세 27.91%~38.02%를 부과해달라고 기재부에 건의하기로 결정했다. 수입 후판에 대한 덤핑 방지 관세는 이번이 최초로, 기재부는 1개월 내 잠정 조치 부과 여부를 결정한다.
정부가 고강도 조치를 꺼낸 것은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국내로 수입되는 중국산 후판이 국내 철강업계를 위협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또 앞서 현대제철이 2024년 7월 중국 업체들의 저가 후판 수출로 피해를 보고 있다며 중국산 후판을 대상으로 산자부에 반덤핑 조사 요청을 한 것이 계기가 됐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10월 3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후판 제품뿐만 아니라 열연강판에 대해서도 산업 피해 심각성에 관한 사실관계를 파악 중"이라며 적극적으로 반덤핑 제소를 검토하고 있음을 밝히기도 했다.
중국산 후판 공급 과잉으로 국내 시장에 저가재가 넘쳐나면서 수익성 악화가 지속됐다. 중국 업체들이 자국의 부동산 시장 침체 장기화로 철강 수요가 크게 줄면서 과잉생산한 제품을 덤핑으로 밀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중국산 후판 가격은 톤(t) 당 74만6000원으로 국내산 90만원보다 20% 이상 저렴하다. 이는 중국산 후판 수입량이 2021년 33만7867톤에서 2023년 125만8324톤으로 4배 가까이 증가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중국이 원가 이하로 밀어낸 철강으로 후판 가격을 계속 내리면서 국내 철강업계는 저가 중국산 후판의 공습과 수요 부진을 이겨내지 못해 극심한 경영 악화에 시달려야 했다.
두께 6㎜ 이상의 두꺼운 철판인 후판은 선박 건조와 교량, 중장비, 송유관 등에 사용된다.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같은 국내 주요 철강사가 후판을 생산한다. 이번 조치에 국내 철강업계 1,2위인 포스코와 현대제철를 비롯해 철강업계 안팎에서는 안도의 목소리가 나온다. 저가 중국산 제품의 대거 유입으로 지난해 연결 기준 현대제철 매출은 23조2261억원으로 2023년보다 10.4% 줄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3144억원으로 60.6% 급감했다. 포스코 역시 같은 기간 매출은 37조56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6% 줄었다. 중국산 후판 공급 과잉으로 국내 시장에 저가재가 범람해 국내 업계는 수익이 악화해 힘든 시기를 보낸 만큼 이번 관세 부과로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는 기대감이 나온다.
다만 조선업계는 이번 조치에 대해 우려를 내비치고 있다. 오랜 불황을 이겨내고 이제 막 회복 국면에 접어든 조선업계는 후판 가격 인상으로 실적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원료인 후판 가격 상승으로 조선사 제조 비용이 커질 수 있고, 중국산 후판에 관세가 부과되면 우리나라 선박의 가격 경쟁력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선주사들이 가격이 더 저렴한 중국 조선소로 향할 수 있다는 것인데 10여년의 장기 불황을 극복해 슈퍼사이클에 돌입했고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집권 이후 미국 MRO 시장 진출, 친환경 선박 발주 기대 등으로 순풍을 탔는데 이번 후판 관세 조치가 다시금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