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트럼프 위기에 철강 라이벌 '맞손'…관세 리스크 공동 대응
美 루이지애나 제철소 공동 투자 확정…철강·이차전지 협력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전쟁과 급변하는 통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철강 분야 1·2위인 포스코그룹과 현대자동차그룹이 손을 잡았다. 갈수록 격화되는 글로벌 관세 전쟁 속 탄탄한 공급망 확보를 위해 전략적 협업이 본격화된 것이다.
21일 양 그룹은 현대차 서울 강남대로 사옥에서 '철강 및 이차전지 분야의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현대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이 철강과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호 협력하는 게 골자다. 첫 단계는 현대제철이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건설할 예정인 전기로 제철소에 대한 지분 투자다.
현대차그룹 자회사인 현대제철은 2029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루이지애나주에 제철소를 설립할 계획이다. 자동차 강판에 특화한 이 제철소는 연간 270만t 생산 규모를 갖출 예정이다. 협력의 첫 결실은 포스코그룹의 현대차그룹 미국 루이지애나주 전기로 제철소 건설 프로젝트 지분 투자로 단순한 재무적 투자자(FI)가 아닌, 일정 조강 물량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 투자자(SI)로 참여하는 방안 등도 검토 중이다.
이번 합작은 자금 사정으로 총 58억달러(8조5천억원)에 달하는 제철소 투자금 가운데 절반을 외부에서 충당해야 하는 현대제철과 트럼프 대통령의 25%의 철강 관세를 피하기 위한 현지화 전략이 절실해진 포스코의 이해관계가 서로 맞아떨어지면서 이뤄졌다.
국내외 시장에서 강한 경쟁 구도를 형성하던 업계 1·2위 기업이 동업 결정을 내린 것은 이례적인 일로 손꼽힌다. 이번 협업을 통해 포스코는 북미에 처음으로 철강재 생산 기지를 마련하게 됐다. 현대차그룹 역시 미국 내 제철소 건립은 처음이다.
포스코는 현재 멕시코 자동차강판 공장 등 북미 지역에 철강가공센터를 운영하며 다양한 완성차 회사를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다.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그룹은 지난 10여년간 보호무역장벽으로 제한됐던 북미 철강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주요 자동차 생산 거점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을 비롯해 미국 등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에 고품질 자동차 강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그룹의 투자 참여로 미국 제철소 공장 건설 재원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차전지 소재 협력을 통해 양사는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이후의 시장 상황에도 대응할 공급망 체계를 갖출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는 차세대 소재 개발 등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분야도 함께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 연간 총 326만대의 전기차 판매로 '글로벌 전동화 톱티어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위해 이차전지 핵심 소재 확보를 위한 글로벌 기업들과 다양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해외 염호 및 광산에 대한 소유권과 지분 투자 등을 통해 리튬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외 사업장에서 전기차 배터리용 수산화리튬 및 양·음극재를 생산하고 있다. 두 그룹은 장기적으로 차세대 소재 개발 등에 나서는 등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분야를 발굴하는 형태로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사장은 "양사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통상압박과 패러다임 변화에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등 그룹사업 전반에 걸쳐 지속 성장할 수 있는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도 "포스코그룹과의 업무 협약을 통해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사업 기회를 확대하고,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의 지속가능한 성장 및 전동화 리더십 확보의 토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