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이은지 기자] 영화 '해적: 바다로 간 산적'이 국새 분실 사건의 전말을 공개했다.
'해적: 바다로 간 산적'이 실제로 조선 건국 초기 10년 간 국새가 없었다는 역사적 사실에 재기 발랄한 상상력을 더한 특급 스토리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가운데, '국새 분실 사건의 전말'이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해적'은 '7급 공무원'의 천성일 작가와 '댄싱퀸'의 이석훈 감독의 명품 시너지가 탄생시킨 팩션(fact+fiction) 사극이다. 이석훈 감독은 "'해적'의 스토리는 실제로 조선 건국 초기에 고려의 국새를 명나라에 반납한 후 새 국새를 받지 못해 1403년까지 근 10년 간 국새가 없었다는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뒀다"고 밝혀 흥미를 자아낸 바 있다.
'해적'은 1392년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던 당시 최영 장군과 정몽주, 이방원 등 역사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야기가 아닌, 개국공신이 되지 못한 인물들에 대해 다루고 있어 더욱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조선 건국과 국새의 부재라는 역사적 사실에 "국새가 없었던 이유는 뭘까?" "왜 그런 상황이 생겼을까?" "조선 건국을 반대하던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하는 물음과 상상력을 더해, 국내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한 번도 다뤄지지 않은 이야기로 색다른 즐거움을 기대케 한다.
뿐만 아니라 미모와 카리스마를 겸비한 해적단 여두목 여월(손예진)은 거칠고 남성적인 기존 해적의 이미지를 탈피한 캐릭터로, 허당 산적단 두목 장사정(김남길)은 괴팍하고 인정사정 봐주지 않는 산적에 대한 고정관념을 비틀어 뻔뻔하고 능글맞은 코믹 캐릭터로 그려져 재미를 더한다.
'해적'은 조선 건국 보름 전 고래의 습격을 받아 국새가 사라진 전대미문의 사건을 둘러싸고 이를 찾는 해적과 산적, 그리고 개국세력이 벌이는 바다 위 통쾌한 대격전을 그린 작품이다. 내달 6일 개봉 예정.
[영화 '해적'에서 분실된 국새. 사진 =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이은지 기자 ghdpssk@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