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곽명동 기자]‘브루클린’은 단순한 멜로영화가 아니다. 지고지순한 순애보도, 가슴 절절한 로맨스도 없다. ‘봄날은 간다’의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처럼, 시간이 지나면서 옅어지는 사랑을 응시하지도 않는다. 이 영화는 낯선 환경에서 불안과 두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영토를 개척하려는 한 여인의 성장 이야기를 따뜻하게 감싼다.
1950년대 초, 언니의 권유로 아일랜드 시골을 떠나 대도시 뉴욕 브루클린에서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에일리스(시얼샤 로넌)는 낮에 고급 백화점에서 일하고, 밤에 야간 대학에서 공부하며 열심히 살려고 노력하지만, 지독한 향수병에 시달리며 적응에 애를 먹는다. 그는 댄스파티에서 이탈리아 청년 토니(에모리 코헨)을 만나 심리적 안정을 찾고 세련된 뉴요커로 변해간다. 어느날 갑작스러운 언니의 부고로 돌아간 고향에서 새로운 남자를 만난 에일리스는 자신의 감정이 미묘하게 흔들린다는 것을 알게된다.
이 영화에서 눈여겨 볼 대목은 에일리스의 옷 색깔이다. 처음에 ‘아이리시 그린’ 카디건을 입고 등장한 그는 브루클린 생활에 적응하면서 정열의 빨간색, 화사한 노란색, 산뜻한 푸른색 등의 옷을 거쳐 마지막에 다시 아이리시 그린을 입는다.
옷 색깔의 변화는 그가 뉴욕에 도착해서 사랑에 빠지고 다시 아일랜드에 돌아가 갈등하는 심리적 변화를 고스란히 담아낸다. 존 크로울리 감독은 처음과 끝을 아이리시 그린의 옷 색깔로 열고 닫음으로써 에일리스가 아일랜드인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이제 브루클린에서 미국인으로 주체적이고 당당하게 살아갈 것이라고 암시한다. 처음 아일랜드를 떠났을 때는 언니의 ‘권유’였지만, 두 번째는 자신의 ‘선택’이었다.
그는 두 세계 사이에서 선택을 앞두고 혼란에 빠진다. 편안하고 익숙하고 안정이 보장된 세계와 상대적으로 그러한 것들이 갖춰지지 않은 세계. 전자가 이미 ‘모든 것’이 구비된 완성태라면, 후자는 ‘어느 것’도 마련되지 않은 잠재태다. 다만, 후자는 언젠가 이뤄낼 꿈과 다른 삶을 살아가겠다는 희망을 품고 있다.
‘브루클린’은 극 초반부에 에일리스의 향수병을 도드라지게 표현한다. 아일랜드 노인의 구슬픈 민요부터 언니와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에 이르기까지 그는 지독한 향수병에 걸려 있다. 에일리스에게 향수병은, ‘데미안’의 알처럼, 고통스럽게 깨고 나가야할 하나의 세계이다. 알에 갇혀 있는 사람은 한 발자국도 내디딜 수 없을테니까.
이 영화가 여성해방이 이뤄지기 전의 이야기라는 점도 흥미롭다. 에일리스는 향수병 뿐만 아니라 가톨릭의 엄격한 도덕성에도 갇혀 있는 1950년의 여성이었다. 그러나 그는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었던 이탈리아 남자를 사귀었고, 안정된 삶의 유혹에서도 빠져 나왔다. 사회적 관습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도전에 몸을 던졌다.
‘브루클린’은 다른 삶을 꿈꾸는 사람의 어깨를 어루만져주는 영화다.
[사진 제공 = 20세기폭스]
곽명동 기자 entheo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