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이예은 기자] 가수 박기영이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와 언론에 불쾌감을 드러냈다.
박기영은 8일 밤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진실은 늘 이렇게 조용히 넘어가더라. 해명 참 빨리도 한다"라는 글과 함께 기사 전문을 캡처해 게재했다.
게재된 기사는 평창동계올림픽과 관련, 앰부시 마케팅(게릴라 작전처럼 기습적으로 행해지며 교묘히 규제를 피해가는 마케팅 기법)으로 권고를 받은 박기영을 향해 연예인 응원단 화이트 타이거즈가 사과를 전하는 내용이었다.
그러면서 박기영은 "이런 말도 안 되는 피해자가 될 줄이야. 지난 1주일을 최악으로 만들었던 사건. 부탁받고 재능기부한 사람에게 앰부시 마케팅이란 누명을 씌워놓고 조직위, 언론, 그들은 사과 한마디 없다"라고 심경을 드러냈다.
이어 "'상대적으로 만만한 독립레이블의 여가수여서 가능했던 일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떠나질 않는다. 이런 피해의식이 자꾸만 나를 가라앉게 만든다"며 씁쓸함을 표했다.
마지막으로 박기영은 "이것이 팩트. 상태 최악. 회복 불가. 재능 기부, 다시는 안 함"이라는 태그와 함께 기사 내용을 강조했다.
앞서 박기영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이하 조직위)로부터 가수 김흥국과 함께 앰부시 마케팅 주의권고를 받았다. 박기영이 발표한 '위 아 더 원'은 조직위와 연관된 공식 노래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박기영의 '위 아 더 원'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 공식 홍보 서포터스 연예인 응원단 화이트 타이거즈의 공식 응원가로 쓰기 위해 제작되었던 곡으로, 오해가 낳은 사태였다.
이후 화이트 타이거즈 측은 “박기영이 발표한 ‘위 아 더 원(We are the one)’은 응원을 위해 순수한 의도로 발표된 것일뿐 앰부시 마케팅용으로 사용된 적이 없다”고 설명하며 박기영에게 사과를 전했다.
이하 박기영 입장 전문
진실은 늘 이렇게 조용히 넘어가더라.
해명 참 빨리도 한다.
이런 말도 안되는 피해자가 될 줄이야.
지난 1주일을 최악으로 만들었던 사건.
부탁받고 재능기부한 사람에게 엠부시 마케팅이란 누명을 씌워놓고
조직위, 언론.
그들은 사과한마디 없다.
처음 이 일의 시작부터 끝까지.
상대적으로 만만한 독립레이블의 여가수여서 가능했던 일일수도 있겠다. 는 생각이 떠나질 않는다.
이런 피해의식이 자꾸만 나를 가라앉게 만든다.
위아더원 제작당시 딸아이가 방학이라 녹음현장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했다.
그나마 화이트 타이거즈의 사과문으로 인해 딸아이가,
“엄마 그때 엄마 녹음하고 나 신났던 노래가 이런 의도로 씌였던 거였어?”
라고 하지 않게 된 것 만으로 다행이라고 생각해야 하나... #이것이팩트 #상태최악 #회복불가 #재능기부 #다시는안함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DB]
이예은 기자 9009055@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