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NBA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SK는 챔피언결정3차전서 1~2차전 실패를 반복하지 않았다.
두 가지 변화가 있었다. 일단 1~2차전서 거의 사용하지 않은 3-2 드롭존을 승부처에 과감히 사용했다. 탑에서의 수비 이해력, 속공 전개에 능한 애런 헤인즈의 부재로 사실상 폐기했다. 그러나 문경은 감독은 벼랑 끝에서 반격 무기로 활용했다.
그런데 DB 이상범 감독이 SK 드롭존을 크게 의식하지 않는 부분, 그 어떤 수비도 파괴할 능력이 있는 절대 에이스 디온테 버튼의 존재감 등을 감안하면 SK 드롭존이 이번 챔피언결정전서 어떤 결말을 가져올 것인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
오히려 또 다른 한 가지 변화가 눈에 띄었다. 김선형에 대한 기용법 변화다. 문 감독은 1~2차전서 김선형을 거의 풀타임으로 내보냈다. 그러나 3차전서는 1~3쿼터에 최대한 최원혁을 활용, 체력을 안배했다. 대신 4쿼터와 연장전에 집중적으로 활용했다.
김선형은 발목 부상과 재활로 시즌 막판 복귀했다. 게임체력이 정상적이지 않다. 복귀 직후 출전시간을 조절했다. 그러나 4강 플레이오프, 챔피언결정 1~2차전서는 사실상 관리가 되지 않았다. 문경은 감독은 "내가 깜빡했다. 선형이는 관리가 필요하다. 체력안배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실제 김선형은 2차전 3~4쿼터에 급격히 응집력이 떨어졌다. 문 감독은 "체력이 떨어졌다고 봤다. 차라리 4쿼터에 에너지를 몰아서 쓰게 하는 게 낫다고 봤다"라고 말했다. 전략은 통했다. 3차전서 김선형은 3쿼터까지 정확히 15분7초만 나섰다.
2차전과는 달리 3차전 4쿼터, 연장전서 힘이 있었다. 두경민을 사실상 압도했다. 드롭 존에서 DB 패스라인을 끊은 뒤 네 차례 연속 속공 득점을 해내거나 이끌었다. DB는 누구도 김선형의 스피드를 제어하지 못했다.
상대적으로 1~3쿼터에 잠잠한 느낌이 있었다. 김선형은 "1~3쿼터에는 패턴, 동료를 살리는 플레이에 집중했다. 그러나 4쿼터에는 공격적으로 임했다. 속공이 나오면서 내 리듬을 찾았다"라고 말했다. 반대로 DB는 4~5차전서 경기 막판 폭발하는 김선형의 에너지를 제어해야 하는 과제를 안았다.
또 하나. 버튼에 대한 SK의 극단적 수비다. 문 감독은 "쌍끌이 수비"라고 말했다. 2차전보다 더욱 극단적인 수비라고도 설명했다. 실제 3차전서 그 수비를 선보이지는 않았다. 문 감독은 "한 가지 무기가 남아있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버튼은 맨투맨, 지역방어 모두 능숙하게 깬다. 순간 스피드와 개인기술, 클러치 능력이 출중하다. 정상적으로는 막을 수 없는 게 4강 플레이오프, 이번 챔피언결정전서 입증됐다. 결국 SK는 2차전서 버튼이 외곽에서 2대2를 할 때 스크리너의 수비수까지 버튼을 마크했다.
결국 외곽에서 더블팀을 실시한 모양새였다. 좀처럼 보기 힘든 극단적 수비. 그러나 버튼은 이 수비 역시 동료에게 한 타이밍 빠른 패스로 해결했다. 또한, 3쿼터 5분 전부터 연속 18점을 올릴 때 2대2를 최소화하며 1대1 공격으로 승부처를 지배하는 영리함을 선보였다.
문 감독이 말한 쌍끌이 수비는 여기서 한 단계 더 극단적이다. 버튼이 어느 지역에서 공을 잡든 극단적으로 더블팀을 하는 수비다. DB 나머지 공격수 중 한 명에겐 무조건 오픈찬스가 난다. 버튼의 패스를 통해 그 선수에게 점수를 내줘도, 버튼에게 점수를 내주는 것보다 데미지가 적다는 계산.
하지만, 문 감독은 3차전 막판 3-2 드롭존이 효과를 보면서 이 수비를 사용하지 않았다. 과연 쌍끌이 수비가 나오면 버튼은 어떻게 대처할까. 김선형 기용법 변화에 대한 DB의 대처까지. 이젠 DB와 이상범 감독의 대처가 중요하다.
[김선형(위), 버튼(아래).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 DB]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