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마이데일리 = 고척돔 김진성 기자] 2021년 키움 마운드에 150km 형제가 뜰 수도 있다.
키움 히어로즈는 1차 지명한 2021년 신인 장재영(덕수고)에게 계약금 9억원을 안겼다. 2006년 한기주(당시 KIA, 10억원)에 이어 KBO 역대 신인 최다 계약금 2위. 내부적으로는 2018년 안우진(6억원)을 넘어 구단 역대 최다 계약금.
계약금이 프로에서의 성공 척도가 절대 아니다. 종목을 불문하고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입단한 특급신인이 쉽게 잊힌 사례는 수두룩하다. 단지 높은 잠재력과 함께 구단의 기대감이 크다는 뜻이다.
안우진처럼, 장재영도 키움 핵심투수로 성장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장재영의 최대 가치는 역시 구속이다. 키움에 따르면 올 시즌 비공식적으로 최고 157km을 찍었다. 누가 가르쳐준다고 해서 157km를 던질 수 있는 게 아니다.
물론 장정석 전임 감독의 아들이라서 좀 더 주목을 받은 건 맞다. 그러나 키움은 오직 장재영의 지닌 가치와 잠재력에 집중했다. 1~2년 전부터 메이저리그 스카우트들의 입에 오르내린 건 이유가 있다.
손혁 감독은 장재영에 대한 코멘트를 극도로 아낀다. 아직 실제로 던지는 걸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영상으로만 확인한 상태다. 장 전 감독에게 가정교육을 잘 받아서 인성이 좋고, 야구에 대한 열정이 좋다고 호평한 적은 있었다.
손 감독은 7일 고척 NC전을 앞두고서도 "내년 스프링캠프 때 하는 걸 봐야 한다. 올해 코로나19 때문에 많은 공을 던질 수 없었다. 지난 3년 간 던진 것도 확인해야 하고 캠프 때 던지는 것도 봐야 한다. 실제로 던지는 걸 봐야 보직도 결정할 수 있다"라고 했다.
분명한 건 2021년 키움 마운드가 150km 군단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는 점이다. 장재영이 내년에 1군 풀타임을 소화할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1군에서 어느 정도 무게 있는 역할을 맡을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게 업계 평가다. 최상의 경우 최원태, 이승호, 한현희 중 한 명을 제치고 선발 한 자리를 꿰찰 수도 있다. 불펜에서 안우진, 이영준과 함께 필승계투조를 맡을 수도 있다.
현재 키움 마운드에서 가장 빠른 공을 던지는 투수는 안우진이다. 야구통계사이트 스탯티즈에 따르면(6일까지), 올 시즌 안우진의 패스트볼 평균구속은 152.3km. 147km이었던 작년보다 약 5km 올랐다. 작년에는 선발과 중간을 오갔고, 올 시즌에는 1이닝 셋업맨이다. 짧은 이닝을 전력으로 던지니 구속이 더 올랐다.
조상우도 150km 이상 던질 수 있다. 다만, 조상우의 패스트볼은 작년 평균 152.2km서 올해 148.6km로 떨어졌다. 즉, 내년에 조상우가 150km대 구속을 회복하고 장재영마저 1군에 자리잡으면 안우진과 함께 '토종 150km 트리오'가 결성되는 셈이다. KBO리그서 결코 쉽게 볼 수 있는 모습이 아니다.
물론 투수에게 구속이 전부가 아니다. 제구와 커맨드가 뒷받침돼야 1군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안우진이 아직 안정감이 2% 부족한 건 제구에 기복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조상우는 구속이 떨어졌지만, 제구가 어느 정도 뒷받침된다. 위기관리능력도 있다. 장재영 역시 올해 고교 대회서 제구 난조로 무너진 경기가 있었다. 어떻게 보완할 것인지가 관심사다.
어쨌든 장재영이 내년에 다치지 않고 1군에 자리잡으면 키움 마운드가 볼 맛이 날 듯하다. 지금도 안우진과 조상우의 패스트볼은 결과를 떠나 시원스러운 맛이 있다. 프로라면, 특히 '9억팔' 특급신인이라면 주위의 큰 기대와 평가를 묵묵히 받아들이면서 나아가는 게 순리다.
장재영은 "더 빠른 볼을 던져야 한다고 욕심을 내기보다 제구력을 보완하는데 집중하려고 한다. 아직 힘이 부족한데 웨이트트레이닝을 통해 힘을 기르고 싶고, 멘탈도 더 강하게 만들고 싶다"라고 했다.
[장재영. 사진 = 키움 히어로즈 제공]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