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일반
[마이데일리 = 김나라 기자] 그룹 슈퍼주니어 멤버 김희철이 유기견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발언을 하며, 뭇매를 맞고 있다.
김희철은 26일 오후 첫 방송된 종합편성채널 JTBC '개취존중 여행배틀 펫키지'(이하 '펫키지')에 출연했다.
해당 방송에서 그는 "유기견을 키운다는 게 진짜 대단한 거 같아. 진짜 솔직한 말로 강아지 선생님들, 전문가분들은 초보 애견인에게 유기견을 절대 추천 안 한다. 왜냐하면 유기견은 한번 상처받았어서 사람한테 적응하는 데 너무 오래 걸린다. 그러면 강아지 모르는 사람은 사람도 상처받고 강아지도 또 상처를 받는다"라는 생각을 전했다.
하지만 이는 부적절한 발언이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효리, 윤승아, 이용녀 등도 앞장서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라는 캠페인을 수년째 전개하며 이제야 유기견 입양에 대한 인식 변화 움직임이 일고 있는데, 김희철의 발언은 잘못된 편견과 차별을 조장하는 뉘앙스가 다분했다는 비판이다. 입양을 결정함에 있어 신중해야 하는 건 유기견을 떠나 모든 동물이 마찬가지임에도 김희철은 '유기견'이라고 특정 지으며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줬다.
이에 동물권행동 단체 카라는 27일 공식 인스타그램에 김희철의 문제의 장면 캡처샷을 올리며 "'펫키지'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본 프로그램은 유기견 입양 사연을 소개하면서 '전문가들은 절대 유기견을 추천하지 않는다'라며 마치 유기동물을 반려하기 어려운 동물로 오해를 일으키는 발언이 그대로 방송되었다"라면서 "이제는 '유기견은 ~하다'라고 재단하는 것 자체가 동물을 대상화하고 물건과 같이 취급함을 알아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
이들은 "카라와 같은 시민단체를 비롯하여 수많은 후원자, 봉사자, 그리고 시민들이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라는 구호를 외칩니다. 펫숍에서 전시되는 동물들이 어떻게 '생산'되어 경매장에 붙여지고 판매되는지, 또 번식장(강아지공장/고양이공장)에 남은 동물들의 고통이 얼마나 끔찍한지 알기 때문"이라며 "유기견에 대한 잘못된 인식(건강하지 않다/행동문제가 있다/트라우마가 있다)을 바꾸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는 한편, 유명인의 말 한 마디가 유기견에 대한 편견을 강화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많은 대중의 인식이 방송을 보고 만들어진다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방송과 패널의 힘은 강하다"라고 전했다.
또한 카라는 "출연진이 오해를 살 발언을 하거나 사실관계가 불분명한 발언을 한다면 제작진은 현장에서 멘트를 보완해 달라는 요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어렵다면, 이를 편집하여 송출하지 않아야 한다. 유기동물들은 법률의 허점과 더불어 방송에서 만들어지는 프레임으로 더 사각지대로 내몰리고는 한다. 카라는 '펫키지' 제작진에 깊은 우려를 표하며, 방송이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지 않고 좋은 영향력을 만드는 방향으로 선회하기를 바란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 이하 동물권행동 단체 카라 입장 전문.
8월 26일 방영된 JTBC 예능 프로그램 <펫키지>에 깊은 우려를 표합니다.
⠀
"유기견을 키운다는 게 진짜 대단한 것 같아. 진짜 솔직한 말로 강아지 선생님들, 전문가들은 강아지를 키우고 싶은 사람들한테 유기견을 절대 추천 안해. 왜냐면 유기견들이 한번 상처를 받았어가지고 사람한테 적응되는데 너무 오래 걸리면 강아지 모르는 사람이, 사람도 상처받고 강아지도 또 상처받고."
⠀
본 프로그램은 유기견 입양 사연을 소개하면서 '전문가들은 절대 유기견을 추천하지 않는다'며 마치 유기동물을 반려하기 어려운 동물로 오해를 일으키는 발언이 그대로 방송되었습니다.
⠀
카라와 같은 시민단체를 비롯하여 수많은 후원자, 봉사자, 그리고 시민들이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라는 구호를 외칩니다. 펫숍에서 전시되는 동물들이 어떻게 '생산'되어 경매장에 붙여지고 판매되는지, 또 번식장(강아지공장/고양이공장)에 남은 동물들의 고통이 얼마나 끔찍한지 알기 때문입니다.
⠀
유기견에 대한 잘못된 인식(건강하지 않다/행동문제가 있다/트라우마가 있다)을 바꾸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는 한편, 유명인의 말 한 마디가 유기견에 대한 편견을 강화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많은 대중들의 인식이 방송을 보고 만들어진다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방송과 패널의 힘은 강합니다.
⠀
유기동물은 제각기 개별성을 가진 생명으로서 성격도, 건강상태도 모두 다릅니다. 사람이 어떻게 보호하느냐에 따라 친화적이고 구김살 없는 건강한 동물이 될 수도 있고, 그 동물의 성격과 기질에 따라 몇 년이 걸려서야 겨우 마음을 열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제는 '유기견은 ~하다'라고 재단하는 것 자체가 동물을 대상화하고 물건과 같이 취급함을 알아야 합니다.
⠀
출연진이 오해를 살 발언을 하거나 사실관계가 불분명한 발언을 한다면 제작진은 현장에서 멘트를 보완해 달라는 요청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어렵다면, 이를 편집하여 송출하지 않아야 합니다.
⠀
유기동물들은 법률의 허점과 더불어 방송에서 만들어지는 프레임으로 더 사각지대로 내몰리고는 합니다. 카라는 <펫키지> 제작진에 깊은 우려를 표하며, 방송이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지 않고 좋은 영향력을 만드는 방향으로 선회하기를 바랍니다.
⠀
📺 카라는 곧 jtbc에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점을 정리한 공문과 카라가 제작한 동물 출연 미디어 가이드라인 <어떠한 동물도 해를 입지 않았습니다>를 발송할 예정입니다.
#동물권행동카라 #동물은물건이아니다 #입양ON펫숍OFF #사지말고입양하세요
#펫샵불매 #펫숍불매 #강아지공장 #고양이공장 #번식장 #동물생산 #동물판매 #펫샵 #펫숍 #korea_animal_rights_advocates
[사진 = JTBC '개취존중 여행배틀-펫키지' 캡처]
김나라 기자 kimcountry@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