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우리나라 궐련담배 흡연자들이 국제표준에 비해 '더 자주, 더 많이, 더 빠르게' 흡입하여 한 개비당 총 담배 연기 흡입량이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년 전 조사 때보다 흡입 횟수와 흡입량, 흡입속도 모두 늘어났다.
질병관리청은 8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0년 한국인 궐련 담배 흡연 습성 및 행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20년 2~8월 만 20세 이상 궐련담배 흡연자 100명(을 대상으로 흡연 습성 측정기기 및 설문조사를 통해 흡연 습성을 24시간 관찰한 결과이다.
한국 궐련 흡연자의 담배 한 개비당 총 담배 연기 흡입량은 1441㎖로, 국제표준인 455㎖보다 3배 많았다. 국제표준(ISO 3308)은 담뱃갑에 표기되는 타르, 니코틴 함량을 측정하는 담배시험조건이다.
또한 우리나라 궐련 흡연자의 경우 한 개비당 흡입 횟수가 1.6배 이상, 1회 흡입량은 2.1배 이상 많고, 흡입속도는 2.8배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표준 흡입횟수는 13회인 반면 한국인은 20.4회였고, 한국인의 1회 흡입량도 35mL로 국제표준(73.0 mL)보다 많았다. 한국인의 흡입속도(17.5 mL/초)는 국제표준(48.2 mL/초)보다 월등히 높았다.
지난 2016년 실시한 연구와 비교할 때 흡입횟수, 흡입량, 흡입속도 모두 증가했다.
4년 전 조사에서 한 개비당 총 흡입 횟수는 16회였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20회로 28% 증가했고, 1회 평균 흡입량도 2016년61mL에서 73 mL로 20% 늘었다. 1회 평균 흡입속도 40 mL/초에서 48 mL/초로 19% 빨라졌다.
전체적으로 한 개비당 총 담배 연기흡입량은 지난 2016년 970mL에서1,441 mL로 4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60~69세 흡연자가 20~39세 흡연자에 비해 한 개비 당 흡연 시간이 평균 46초 길었고, 일일 총 흡입 횟수도 56회 더 많았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흡연자들의 실제 측정된 개비당 평균 흡입 횟수(약 20회)와 흡연 시간(약 2분 이상)이 설문 응답보다 높게 나타나 흡연자가 인지하는 것보다 실제 흡연 시 더 오랜 시간 담배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설문조사에서는 흡연자들은 1개비당 평균 1분33초간 피우고, 15.6회 흡입한다고 대답했으나 실제 측정 결과 흡연시간은 3분7초, 흡입횟수는 20.4회로 조사된 것이다.
질병청은 개비당 담배연기 흡입량이 많으면 흡연자의 폐에 들어가는 담배연기의 양이 많아져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담배 연기에는 타르, 니코틴 외에도 여러 종류의 발암물질과 건강을 위협하는 유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담배연기를 많이 흡입하는 만큼 흡입한 연기가 외부로 재배출되는 양도 많아져 간접흡연 피해 또한 늘어날 수 있다.
[사진:AFPBBNews, 그래픽:질병관리청 제공]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