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이재명(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신임 대표가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홈페이지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지도부가 출범하자마자 ‘김건희 특검’ ‘한동훈 탄핵’ 등을 거론하며 대정부 강경 모드를 이어가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는 “야당으로서 정권의 내부 문제를 파고드는 것뿐”이라는 입장이지만, 당 내부적으로는 이재명 대표를 향한 ‘정치 보복 수사’ 변수도 고려하는 등 복잡한 속내를 내비치고 있다.
국민일보에 따르면 장경태 최고위원은 30일 BBS 라디오 인터뷰에서 “개인적으로 ‘김건희 특검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혐의 등이 전혀 수사가 안 되고 있는데, 그런 부분을 수사하라고 특검법이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 최고위원은 또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시행령 개정을 통해) 법을 위반한 것들이 계속 쌓여가고 있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날 서영교 최고위원은 한 장관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해 동시 탄핵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정부가 연이은 실정으로 야당의 강경 대응을 불렀다는 입장이다. 지도부의 한 의원은 “김 여사를 둘러싼 주가 조작, 허위 경력 의혹은 윤석열 대통령이 약속한 ‘공정’에 명백히 반하는 것”이라며 “한 장관 역시 ‘검수원복’(검찰 수사권 원상복구) 시행령 개정으로 비판을 자초했다”고 지적했다.
새 지도부의 잇따른 강경 발언에는 이 대표를 겨누고 있는 검경의 수사에 대한 ‘경고’의 뜻도 담겨 있다. 한 최고위원은 “‘이 대표는 건들지 말라’는 말이 아니라, 수사할 거면 최소한 김 여사에 대한 수사와 형평성을 맞춰야 한다는 것을 정부와 수사기관에 미리 상기시키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강성 지지층이 요구하는 ‘강한 야당’ 이미지를 구축하면서 여당의 자중지란 속에 정국 주도권을 확실하게 장악하려는 의도도 반영돼 있다.
친이재명계 한 의원은 “열성 지지층의 지지를 업고 당선된 지도부로서는 정부와 전쟁을 벌이는 것이 당면 과제”라며 “특히 여당이 내홍을 겪고 있는 지금이 대정부 공세에 적기라고 판단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대표는 강경 발언과 거리를 두며 정부와 협치 기조를 이어갔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이 대표까지 정쟁에 뛰어들면 여야가 서로 진흙탕 싸움만 되풀이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 대표는 민생에만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이재명계에서는 지도부의 강성 기조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3선 이원욱 의원은 ‘한동훈 탄핵’ 주장에 대해 “한 장관을 제2의 윤석열로 키워줄 수 있다”며 “최악의 카드”라고 혹평했다.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