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마이데일리 = 최용재 기자]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사상 2번째 원정 16강을 노리는 한국은 우루과이·가나·포르투갈과 H조 편성됐다. '마이데일리'는 한국의 조별리그 3경기를 하석주와 함께한다. 선수 시절 '왼발의 마법사'라 불리며 한국 축구의 중심에 섰던 그는 A매치 94경기에 출전했고, 1994 미국 월드컵, 1998 프랑스 월드컵 등 2번의 월드컵을 경험했다. 그의 왼발만큼이나 날카로운 관전평을 소개한다.
강팀을 상대로 한국은 전반부터 좋은 흐름을 가져갔다. 활동량에서 앞섰고, 압박도 더욱 강했다. 오히려 우루과이가 조심스러운 경기 운영을 했다.
일반적으로 월드컵이라는 큰 무대에서는 약팀이 수비를 하다 역습을 하는 전략을 쓰는데, 이번 경기에서는 약팀과 강팀의 스타일이 바뀐 것 같다. 그만큼 우루과이도 한국을 경계한 것이다.
전반 33분 황의조가 결정적 찬스를 살리지 못한 것이 두고두고 아쉽기는 했지만 한국의 조직적인 움직임은 우루과이를 당황하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후반에도 이런 양상이 이어졌다. 흐름은 한국이 주도를 했다. 우루과이의 컨디션 난조라기 보다는 한국이 잘한 거다. 강팀을 상대로 좋은 모습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아쉬운 점도 있었다. 유효슈팅이 하나도 없었던 것이다. 한국이 슈팅을 너무 아꼈다는 생각이 든다. 앞으로는 과감한 슈팅을 더 많이 시도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가장 아쉬웠던 점은 해결을 해줘야 하는 선수들의 몸상태가 정상이 아니라는 점이다. 좋은 공격 옵션 중 하나인 황희찬은 경기에 나서지도 못했다. 특히 손흥민이 정상 몸상태가 아니라는 점이 가장 안타깝다.
손흥민은 안면 부상을 당하고 약 20일 만에 경기에 나섰다. 훈련이 부족했고, 경기 감각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때문에 예전의 활동량을 보여주지 못했고, 마스크를 끼고 경기를 뛰는 것도 힘들었을 것이다.
나 역시 광대뼈 수술 뒤 마스크를 끼고 경기에 나선 경험이 있다. 시야가 가려져 정말 힘들다. 이런 상황에서 뛰어준다는 것 자체가 고마운 일이다.
손흥민이 정상 몸상태였다면. 한국이 충분히 이길 수 있었던 경기였다. 특히 우루과이에는 노쇠한 선수들이 많다. 손흥민의 스피드와 활동량을 앞세웠다면 충분히 득점이 나올 수 있는 상황이었고, 결국 우루과이가 무너질 수 있었던 경기였다.
정리 = 최용재 기자
[사진 = 게티이미지코리아, 대한축구협회]
최용재 기자 dragonj@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