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웅제약 국내 공급담당…디지털 헬스케어 공략
AI·웨어러블 활용해 환자 생체 신호 실시간 분석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는 웨어러블 의료기기와 AI(인공지능)를 활용해 국민 건강 관리의 새로운 시대를 열 것이다.”
이영신 씨어스테크놀로지 대표는 3일 JW 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에서 열린 ‘씽크’ 기자 간담회에서 이같이 자신했다.
씽크는 환자 실시간 생체신호를 웨어러블 바이오센서, 게이트웨이, 대시보드, 모바일 대시보드(태블릿), 모니터링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분석·관리한다. 이 가운데 웨어러블 바이오센서는 심전도, 체온,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한 후 AI로 분석해 실시간으로 의료진에게 전달, 환자 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영신 대표는 “씽크는 심정지, 패혈증, 낙상 등을 감지하고 조기 경보를 제공해 즉각 대응 가능해 환자 안전을 강화할 수 있다”며 “현재 전공의와 간호사 등이 부족한 상황에서 의료 현장의 효율성과 환자 관리질을 향상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의료기관이 씽크를 적극 도입하면 환자 관리 효율성이 높아지고, 보다 나은 치료 환경 조성이 가능하다”며 “이번 보험수가 획득은 씽크 기술력이 인정받은 중요한 이정표라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씽크는 일반 병동에서도 환자 이동이 쉽도록 설계됐다. 무선 환경에서도 데이터 유실을 최소화해 안정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환자별로 주요 바이탈 관리를 설정할 수 있고, 병동 현장에서 수집된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한 알람 성능도 지원한다.
실시간 데이터 분석 기능이 눈길을 끈다. 모든 환자 모니터링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고, 측정 종료 후 토원 후에도 기록 검토와 보고서 작성을 위해 일정 기간 보관한다. 이를 활용해 의료진 상세 검토를 위한 분석 도구, 주요 이벤트를 손쉽게 선택·편집할 수 있는 보고서 작성 도구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영신 대표는 “씽크는 사용자 편의성 향상에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며 “모바일 모니터링 등으로 공간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입원환자 생체 활력 징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고 했다.
대웅제약은 씽크 국내 공급을 담당한다.
이미 대웅제약은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 △연속혈당측정기 프리스타일 리브레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 △반지형 연속혈압측정기 카트비피 △AI 실명질환 진단 보조 솔루션 위스키 등을 선보이고 있다.
조병하 대웅제약 사업부장은 “웨어러블 기기로 습득한 의료 데이터에 AI 기반 데이터 분석과 맞춤형 코칭이 결합한 형태의 디지털 헬스케어가 글로벌 시장 트렌드로 급격히 확장되고 있다”며 “의료 현장 업무 효율화와 진단 고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대웅제약은 데이터 기반 혁신적인 건강 관리 솔루션을 도입·보급하고 있으며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를 실현하고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박성규 기자 psk@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