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스맥스와 ‘2025 큐텐재팬 K뷰티 메가 컨퍼런스’ 개최
최근 5년간 K뷰티 사업 연평균 64% 성장, 시장점유율 1위
구자현 대표 “한국 기반 일본 현지 기업, 독보적 경쟁력”
[마이데일리 = 방금숙 기자] “K뷰티 기업들이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큐텐재팬(Qoo10.jp)이 든든한 가교가 되겠습니다.”
이베이재팬이 14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2025 큐텐재팬 K뷰티 메가 컨퍼런스’를 열고 향후 3년 안에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K뷰티 브랜드 20개와 1000억원 규모의 브랜드 100개를 육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발표했다.
구자현 이베이재팬 대표는 “숫자가 과해 보일 수도 있지만 오히려 목표를 더 키워야 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최근 뷰티 브랜드 중 일부는 연매출 5000억에서 1조원까지 성장하며 IPO(기업공개)나 인수합병을 통해 조 단위 기업가치를 인정받고 있다”며 “현재의 성장 속도를 고려하면 3년 내 목표 달성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큐텐재팬은 일본 온라인 오픈마켓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특히 K뷰티 부문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큐텐재팬 회원 수는 2500만명을 넘어섰고 일본 온라인 뷰티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이다.
지난 5년간 큐텐재팬의 뷰티 사업은 연평균 64% 성장하며, 일본 MZ세대 사이에서 가장 주목받는 뷰티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구 대표는 “일본은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규모의 뷰티 시장으로 매년 20% 이상 성장하고 있다”며 “일본 소비자들은 합리적인 가격, 뛰어난 품질, 빠른 트렌드 반영을 높이 평가하는데 K뷰티야말로 이를 가장 잘 충족시킨다”고 말했다.
큐텐재팬은 일본 시장에서 K뷰티 브랜드의 성공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대표적인 것이 분기별 대규모 할인 행사 ‘메가와리’다.
올해 1분기(2월 28일~3월 12일) 메가와리에서는 총 거래액 5000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행사 첫날 방문자 수만 600만명, 단일 브랜드 라이브 방송에서 7만3000건을 판매하며 43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총 12일간 350만명이 제품을 구매했으며 판매된 제품 수만 45만개에 달했다.
구 대표는 “메가와리는 단순한 할인 행사가 아니라 K뷰티 브랜드를 일본 시장에 각인시키는 중요한 브랜딩 플랫폼”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마케팅 투자로 K뷰티 브랜드의 일본 시장 확대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큐텐재팬이 한국에 뿌리를 둔 플랫폼이라는 점도 국내 기업들에게 강점으로 작용한다. 구 대표는 “큐텐재팬은 일본에서 사업을 하는 미국 회사지만 과거 G마켓이라는 한국 플랫폼을 기반으로 성장했다”며 “한국 판매자들에게 익숙한 운영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영업, 마케팅, 기술 지원 등에서도 강력한 경쟁력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노용석 중소벤처기업부 기업정책실장도 “K뷰티는 이미 중소기업 수출 1위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며 “정부도 큐텐재팬, 아마존, 올리브영 등과 협력해 수출 기업 육성 프로그램을 신설하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베이재팬은 향후 K뷰티를 비롯해 이너뷰티(먹는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사업을 확장할 예정이다. 또한 ‘메가와리’, ‘메가포’와 연계한 신규 기획과 이벤트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K뷰티 브랜드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돕는 허브 역할을 하겠다는 전략이다.
더불어 패션 브랜드 ‘무브(MOVE)’, 리빙용품 서비스 ‘큐마트(Qmart), 신상품을 무료로 제공하고 21만건 이상 리뷰를 공개하는 ’샘플마켓‘, 이베이 그룹 최초의 라이브 커머스 전용 스튜디오 ’큐텐 라이브 스튜디오‘ 운영 등 4개의 핵심 서비스 강화에 나설 예정이다.
구 대표는 “K뷰티는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라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경쟁력을 갖춘 산업”이라며 “큐텐재팬이 K뷰티 기업들의 일본 및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가장 강력한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세계 1위 화장품 ODM 기업 코스맥스의 이경수 회장도 연사로 나섰다.
이 회장은 “전 세계 뷰티 시장을 이끄는 원동력 중 하나는 인디 브랜드의 성장”이라며 “K뷰티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면 젊은 소비층을 겨냥해 빠르게 혁신 제품을 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까지는 브랜드가 시장을 주도했지만 앞으로는 소비자가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R&I(연구혁신)센터, 다품종 소량 생산체계 구축, AI 맞춤형 화장품 시스템 등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방금숙 기자 mintban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