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삼성, 'AI 홈' 탑재된 실내기 등 히트펌프 제품 소개
LG, 유럽 기후 최적화된 주거용·상업용 솔루션 선봬
HVAC 시장 연평균 7.1% 성장…시장 공략 '가속화'
[마이데일리 = 심지원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세계 최대 규모의 냉난방공조(HVAC) 전시회에 나란히 참가하며 유럽 HVAC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17~21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HVAC 전시회 'IHS 2025'에 참가한다고 17일 밝혔다.
먼저 삼성전자는 약 489㎡ 규모의 전시장에서 가정용부터 상업용까지 다양한 HVAC 솔루션을 전시한다.
삼성전자는 고효율 냉난방 시스템인 히트펌프 '슬림 핏 클라이밋허브', 에코히팅시스템 (EHS) 제품인 'EHS 모노 R290' 등과 함께 올해 초 출시한 '비스포크 인공지능(AI) 무풍콤보' 벽걸이형 에어컨 신제품을 선보인다.
슬림 핏 클라이밋허브는 200리터 전용 물탱크가 탑재된 가정용 히트펌프 EHS 제품이다. 7형 터치스크린 기반 'AI 홈'을 탑재해 편의성을 높였다.
EHS 모노 R290은 고효율 냉난방 시스템인 히트펌프 EHS 제품으로, 자연냉매인 R290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강력한 성능으로 난방을 위한 최대 75도의 고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비스포크 AI 무풍콤보 에어컨 신제품은 삼성전자 '무풍' 기능에 섬세한 습도 센싱·제어 시스템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새롭게 탑재된 '쾌적제습' 기능은 실내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며 제습하고, 공간의 습도에 맞춰 열교환기를 필요한 만큼만 냉각해 불필요한 냉기를 방출하지 않는다.
또 삼성전자는 호텔∙소매점 등 다양한 상업용 공간을 위한 스마트한 냉난방 에너지 관리 솔루션과 기업 고객을 위한 기업간거래(B2B) 전용 통합 연결 플랫폼인 '스마트싱스 프로', 빌딩 통합 솔루션 'b.IoT 라이트'도 전시할 예정이다.
최항석 삼성전자 DA사업부 상무는 "삼성전자는 독보적인 무풍 기술과 고효율 에너지 기술 그리고 편리한 연결성을 기반으로 글로벌 공조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역별 소비자 니즈와 환경에 최적화된 제품을 다양하게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이번 행사에서 총 492㎡ 규모의 전시 부스를 조성하고,주거용부터 상업용까지 유럽 지역 특성에 최적화된 고효율 히트펌프 등을 전시할 계획이다.
LG전자의 대표 주거용 히트펌프 '써마브이(Therma V)'는 외부 공기에서 얻는 열에너지를 활용해 실내 냉난방 및 온수를 공급하는 '공기열원 히트펌프(AWHP)'다.
화석연료를 태운 열로 난방하는 기존 보일러에 비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으며, LG전자가 자체 개발한 고효율 인버터 스크롤 컴프레서를 적용해 에너지 효율도 높다.
아울러 '써마브이 R290 모노블럭'은 유럽 단독주택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중소형부터 대용량까지 다양한 라인업을 갖췄으며 지구온난화지수(GWP)가 3에 불과한 자연냉매를 적용했다.
이외에도 LG전자는 다세대 주택을 위한 고효율 히트펌프 '써마브이 모노블럭 G'와 기존 냉매(R410A)보다 GWP가 30% 수준인 R32 냉매를 적용한 '인버터 스크롤 칠러'와 '멀티브이 아이(Multi V i)' 등을 소개한다.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장 부사장은 "LG전자의 차별화된 코어테크를 앞세워 고효율 냉난방공조 솔루션을 지속 선보이며, 탈탄소∙에너지 전환에 따라 성장하고 있는 유럽 HVAC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국내 기업들이 HVAC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눈여겨보고 있는 것은, 최근 AI 데이터센터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열을 관리하는 솔루션으로 새롭게 HVAC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HVAC는 온도·습도·공기 품질 등을 사용 목적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유지 및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전 세계적인 탈탄소화 트렌드와 맞물려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대체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더 비즈니스 리서치 컴퍼니에 따르면 전세계 HVAC 시장 규모는 올해 1931억달러(약 281조원)에서 연평균 7.1% 성장해 2029년에는 2540억달러(약 367조)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은 HVAC 사업을 차세대 먹거리로 키우기 위해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미국 대형 HVAC 설비기업 레녹스와 함께 합작법인 '삼성 레녹스 냉난방공조 노스 아메리카'를 설립하고 현지 시장 공략에 집중하고 있다. 또 최근 5년간 주거 단지, 공공 시설, 상업 시설 등에 고효율 인버터, 히트펌프 등 HVAC 제품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올해 30% 매출액 증대를 목표로 유럽 40개국을 포함해 연내 북미 가정까지 보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LG전자도 지난해 말 종합 공조업체로의 보다 빠른 도약을 추진하기 위해 ES사업본부를 신설했으며, 지난 7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에어솔루션연구소를 설립하고, 6월에는 노르웨이 오슬로에 히트펌프 컨소시엄을 구축하는 등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LG전자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데이터센터 협업을 통한 실전 경험 및 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등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심지원 기자 s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