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하나·우리·농협·부산은행 참여…더존뱅크·유뱅크 철회
연체율 상승세와 탄핵 정국 장기화에 백지화 우려도 높아져
[마이데일리 = 이보라 기자] 제4 인터넷전문은행(인뱅) 예비인가 신청 접수가 시작된 가운데 한국소호은행이 단독 유력 후보로 급부상하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부터 26일까지 제4인뱅 예비인가 신청을 받는다. 2~3개월 동안 심사를 거친 후 연내 예비인가 여부를 의결할 방침이다. 기존 인뱅 3사는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다.
이번에 도전장을 내민 컨소시엄 중에는 한국소호은행이 가장 유력한 제4인뱅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소호은행은 한국신용데이터(KCD)가 주도해 설립을 추진 중인 인터넷은행이다. 이 컨소시엄에는 KCD를 비롯해 우리·농협· 하나·부산은행, OK저축은행, 우리카드, 유진투자증권 등 금융사가 참여하고 있다. IT기업으로 아이티센, 메가존클라우드, LG CNS 등이 참여를 확정했다.
하나은행은 가장 최근 소호은행 컨소시엄에 참여를 결정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전국 소상공인에게 특화된 디지털 금융 서비스 제공을 확대하는 동시에 지역 금융 활성화와 상생금융 실현에 동참하고자 결정했다”며 “소상공인의 디지털 금융 접근성을 높이고 차별화된 자산관리 서비스 등 다양한 금융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컨소시엄을 주도하고 있는 KCD도 소상공인 맞춤형 서비스를 내세운다.
KCD 관계자는 “소상공인 전문 인터넷은행으로서 소상공인 맞춤형 상품과 서비스를 많이 준비했다”며 “단순히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 은행 대출 상품과 달리 소상공인을 위한 신용평가 모형 구축 등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특화된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강조했다.
소호은행이 강력한 후보로 떠오르는 결정적인 이유는 다른 제4인뱅 후보가 줄줄이 도전 의사를 취소했기 때문이다.
당초 후보군은 △한국소호은행과 더불어 △더존뱅크 △유뱅크 △소소뱅크 △AMZ뱅크 △포도뱅크 등 총 6곳이었다.
이 가운데 더존뱅크와 유뱅크가 초기부터 금융권의 참여를 이끌어내면서 자금조달 경쟁력을 확보했다. 포도뱅크, AMZ뱅크, 소소뱅크는 컨소시엄 참여 기업에 금융사를 확보하지 못하면서 자본력에 대한 불확실성을 안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더존뱅크와 유뱅크 컨소시엄은 지난 17일 제4인뱅 예비인가 신청을 철회했다. 이들 컨소시엄에 참여를 검토했던 신한은행과 기업은행도 제4인뱅 참여가 무산됐다.
다만 제4인뱅이 백지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제4인뱅은 윤석열 대통령이 추진한 정책이기 때문이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11월 “제4인뱅 인가 조건으로 비수도권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충분한 자금 공급 계획과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조건을 충족하는 곳이 없다면 예비인가 승인을 한 군데도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못박았다.
또한 은행권의 중소기업 연체율이 올라가는 점도 제4인뱅 설립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원은 “국내 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상황에서 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대출 공급을 확대할 목적으로 인뱅 신규 인가를 가능한 한 많이 내주는 것은 금융당국으로서 쉽지 않은 결정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보라 기자 bora@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