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야구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ABS라면, 이 공은 당연히 볼이었다.
이정후(27,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또 판정에 아쉬움을 삼켰다. 27일(이하 한국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펫코파크에서 열린 2025 메이저리그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홈 경기에 3번 중견수로 선발 출전, 4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이정후는 26일 경기서 역대급 오심의 희생양이 됐다. 0-2로 뒤진 9회말 선두타자로 등장, 좌완 로버트 가르시아를 상대했다. 볼카운드 2B2S서 5구 94.5마일 포심패스트볼이 이정후의 얼굴로 향했다. 이정후는 화들짝 놀라 주저앉으며 공을 피했다.
이때 우연하게 공이 이정후가 쥐고 있던 배트를 맞고 3루 파울 지역으로 흘러갔다. 영상을 보면 ‘딱’이라는 타구음까지 선명하게 들린다. 그러나 오스틴 존스 주심은 파울이 아닌 헛스윙을 선언하며 삼진 처리를 하고 말았다. 이정후도 현지 언론들을 통해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되는 판정이라며 분노했다.
이정후는 이날 또 다시 좋지 않은 판정을 받아들여야 했다. 2-2 동점이던 5회말 1사 1루였다. 텍사스 오른손 선발투수 타일러 말리를 상대했다. 올 시즌 메이저리그 전체 평균자책점 2위를 달리는 투수. 이정후는 이미 1회 첫 타석에서 안타를 날리며 기세를 올린 상황.
그러나 5회말 세 번째 타석은 이정후로선 황당했다. 초구 93.2마일 포심은 바깥쪽 보더라인에 걸쳤다. 스트라이크였다. 그런데 2구 91.8마일 포심이 바깥쪽 높은 코스로 날아갔음에도 토드 티슈너 주심은 스트라이크를 외쳤다.
MLB.com 게임데이를 보면 공은 스트라이크존에서 분명히 벗어났다. 만약 KBO리그의 ABS라면 어땠을까. 당연히 볼이었다. ABS도 공이 스트라이크 존에 묻기만 하면 스트라이크를 콜한다. 그러나 이 공은 그렇지 않았다.
이정후는 이 타석에서 좌익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1B1S가 아닌 2S서 3구 바깥쪽 스플리터가 들어오자 반응했다. 2스트라이크라서 손이 나갈 수밖에 없었다. 이렇듯 공 하나가 타격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한 타석의 결과가 개인의 성적을 바꿀 수 있다. 공 하나에 경기결과도 바뀔 수 있다. 정상적으로 1B1S라면 안타나 볼넷이 나왔을 수도 있다. 그러면 이정후의 타율은 0.327보다 높을 수도 있었다.
메이저리그도 ABS 도입을 서둘러야 할 듯하다. 마이너리그에서 시범 운영 중이고, 빠르면 2026시즌엔 챌린지 형식으로 메이저리그에도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는 게 미국 언론들의 보도다. 그러나 엄연히 횟수 제한이 있는 챌린지를 통해 ABS를 도입하면, 억울한 볼판정을 완전히 개선하긴 어렵다.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