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종합
[마이데일리 = 강산 기자] "이용대와 김기정이 아시안게임에 참석하지 못할 경우 협회에서 책임을 지겠다."
대한배드민턴협회(이하 협회) 김중수 전무이사가 도핑테스트 절차 위반으로 1년간 자격정지 처분을 받은 이용대, 김기정(이상 삼성전기) 관련 긴급 기자회견에서 던진 말이다. 어떻게 책임을 질 것인지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전날(28일) 국제배드민턴연맹(BWF)은 이용대와 김기정의 1년 자격정지 징계를 발표했다. "소재지가 불분명해 BWF 반도핑규약에 따른 도핑테스트를 받지 못했다"는 게 이유. 지난해 3월과 9월, 11월 소재지 보고 프로그램에 정보를 제대로 입력하지 않은 게 문제였다. 협회는 "선수들은 어떠한 금지 약물도 복용하지 않았고, 도핑테스트를 거부하거나 고의로 회피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나마 BWF 측에서 협회의 잘못을 인정해 선수들의 징계 기간을 2년에서 1년으로 줄인 게 다행이라면 다행이다. 협회에는 2만 달러의 벌금이 부과됐다.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 협회에 따르면 세계반도핑기구(WADA) 검사관들이 지난해 3월과 11월 시스템에 소재지로 기록된 태릉선수촌을 불시에 방문했으나 이용대와 김기정은 없었다. 3월에는 소속팀에서 훈련 중이었고, 11월에는 전주 그랑프리골드대회에 출전하느라 선수촌을 비웠다. 이들이 '불심 검문'을 못 받은 건 당연했다.
게다가 협회는 지난해 9월에도 선수들의 소재지 입력 마감시한을 넘겼다. 3월과 9월 두 차례 경고를 받은 데 이어 11월에도 불시 검사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이른바 '삼진 아웃'으로 1년간 자격정지 징계를 받게 된 것이다. 협회는 9월에 받은 2번째 경고를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가 카운터 펀치를 맞았다. 김 이사는 "BWF에서도 처음 있는 일이라 매우 당혹스러워한다"고 전했다. 이어 "만약 이용대와 김기정이 아시안게임에 나가지 못한다면 협회에서 책임지겠다"고 덧붙였다.
징계를 무효화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이나 다름없다. 협회 관계자가 지난 13일 김기정, 이용대와 함께 덴마크까지 건너가 청문회에 참석했으나 소득이 없었다. 이대로라면 이들은 내년(2015년) 1월 23일까지 각종 대회는 물론 소속팀과 대표팀의 훈련에도 나설 수 없다. 협회는 징계 기간을 줄이기 위해 전담팀을 구성, 최대한 힘쓰겠다는 입장이다. 다음달 17일 이내에 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항소하지 않으면 아시안게임 출전은 물 건너간다. 김 이사는 "선수를 살려야 한다는 공감대를 갖고 일을 추진하고 있다"며 "8월 중순에 엔트리 등록이 마감되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진행할 것이다"고 말했다.
문제는 항소가 받아들여지지 않았을 때 협회 측이 어떤 카드를 들고 나오느냐는 것. "책임지겠다"고 말은 했지만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김 이사는 "그 부분까지는 생각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어 차후 재발을 방지하는 게 우선이다"며 "2016년 올림픽 출전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일단 징계가 효력을 발휘하면 협회나 소속팀에서도 관리할 수 없다. 아시안게임 출전이 무산되면 2016년 올림픽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만 했다. 아시안게임 출전 무산을 막기 위해 고심에 고심을 거듭해야 할 상황에 2016년 올림픽을 언급한 것은 적절치 않았다는 게 중론이다.
현재 시행 중인 도핑테스트 방식에 다소 불합리한 면도 없지 않으나 지금까지 문제가 된 적 또한 없었다. 한때 WADA 검사관들이 밤 10시에 여자단식 간판 성지현의 집에 찾아가 도핑테스트를 실시한 적도 있었다. 김 이사는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는 부분도 있다"며 "이용대는 국제선수위원회 소속이기도 하다"며 "위원회에 정식으로 안건을 제출해 선수들에게 불리하다는 것을 BWF에 어필할 수 있게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일단 협회의 행정실수로 쉴 틈 없이 아시안게임을 준비해온 이용대와 김기정이 1년간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 선수들의 가슴에는 큰 생채기가 났다. 아시안게임 출전 여부도 중요하지만 '도핑'이라는 단어가 언급되면서 졸지에 "약물을 복용했다"는 거센 비난까지 받았다. 모두 협회의 어처구니없는 실수로 만들어진 일이다. 만에 하나 극적으로 이들의 아시안게임 출전이 가능해진다고 해도 책임을 피하기 어려운데, 항소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협회는 어떤 책임을 질까.
"이용대와 김기정의 아시안게임 출전이 무산되면 책임지겠다"는 협회의 향후 대응을 유심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
[이용대의 아시안게임 출전은 과연 가능할까. 사진 = 마이데일리 DB]
강산 기자 posterboy@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