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이은지 기자] 영화 '방황하는 칼날'이 작품 속 키워드 세 가지를 공개했다.
'방황하는 칼날'은 한 순간에 딸을 잃고 살인자가 되어버린 아버지, 그리고 그를 잡아야만 하는 형사의 가슴 시린 추격을 그린 드라마다. 영화 속에는 동영상 CD와 문자 메시지, 총알 등 키워드가 존재한다.
▲ 키워드 하나. 동영상 CD
영화 속 관객들의 궁금증을 자극한 영화 속 첫 번째 키워드는 바로 동영상CD다. 딸의 죽음 이후 무력하게 앉아 있던 상현에게 온 익명의 제보 문자. 문자 속 주소대로 찾아간 범인의 집에서 발견한 동영상CD에는 소년에게 성폭행을 당하는 수진의 끔찍한 모습이 담겨 있다.
분노를 이기지 못하고 가해자 소년 철용을 우발적으로 살해하게 된 상현은 수진의 모습이 담긴 동영상CD를 가져간다. 이는 엔딩 크레딧 직전 화면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난다. 이 대목에서 상현이 딸의 처참한 모습이 담긴 동영상CD를 왜 가져갔을까 하는 관객들의 궁금증이 생긴다. 이는 부정(父情)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다. 처참한 딸의 모습을 아무에게도 보여주고 싶지 않은 아버지의 마음이 담긴 본능적인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
▲ 키워드 둘. 문자 메시지
'방황하는 칼날'의 두 번째 키워드는 문자 메시지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동명 원작 소설에서는 딸을 죽인 또 다른 공범을 쫓는 아버지의 추격을 와카코라는 펜션 여주인이 돕는다. 하지만 영화 속에는 그러한 조력자가 등장하지 않는다. 홀로 외로운 추격을 감행하던 상현은 어딘지도 모르는 펜션을 찾아 헤매고 마침내 찾아낸 펜션에서 두식을 발견하지만, 경찰과 쫓고 쫓기는 상황 속에서 두식은 또 다시 종적을 감춘다.
가해자 소년을 놓쳐버린 절망감, 딸에 대한 미안함 등 모든 복합적인 감정과 싸우던 상현에게 정체를 알 수 없는 누군가가 두식의 행방을 문자로 보낸다. 이 문자 제보는 무너져 가던 상현을 다시 일으킨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문자를 보낸 사람이 누구인지 영화 속에서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지만, 모든 것이 끝난 뒤 마지막에 이르러 형사 억관과 현수의 대사에서 발신자를 유추할 수 있다.
▲ 키워드 셋. 총알
세 번째 키워드는 바로 마지막 하이라이트 장면에서 상현의 선택과 맞닿아 있는 총알이다. 관객들이 가장 분분한 의견과 각자의 해석들을 올리고 있는 장면이기도 하다. 마침내 딸을 죽인 공범 두식과 정면으로 마주하게 되는 상현, 그리고 경찰과 몰려든 인파까지, 수많은 사람들이 대치하게 되는 광장 장면에서 상현은 비로소 마지막 선택을 하게 된다.
두식을 죽이기 위해 가져온 엽총을 꺼내 그를 향해 총구를 겨누는 상현, 마치 짐승이 울부짖는 듯한 ‘상현’의 마지막 절규는 관객들의 가슴을 저릿하게 만든다. 이내 상현이 총의 방아쇠를 당기는 순간 모든 상황은 종료되지만, 관객들에게는 또 하나의 궁금증이 남는다. 상현의 총에는 총알이 처음부터 들어있지 않았던 것.
'자의냐, 타의냐'를 두고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이정호 감독은 관객과의 대화를 통해 "총에 총알을 넣고 간다면 이 아버지는 두식을 정말 죽여 버릴 수도 있을 거라 생각했다. 총알을 빼고 간 것은 상현이 스스로를 거세한 것"이라 밝힌 바 있다.
한편 '방황하는 칼날'은 청소년관람불가라는 등급에도 불구하고 개봉 첫날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는 등 흥행에 청신호를 밝혔으며, 개봉 5일 만에 50만 관객을 돌파했다.
[영화 '방황하는 칼날' 스틸컷. 사진 = CJ엔터테인먼트 제공]
이은지 기자 ghdpssk@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